박태환(27)이 쇼트코스(25m) 세계수영선수권대회 남자 자유형 1천500m에서도 대회 및 아시아 신기록을 세우고 우승해 대회 3관왕에 올랐다.
박태환은 12일 캐나다 온타리오주 윈저 WFCU 센터에서 열린 제13회 국제수영연맹(FINA) 쇼트코스 세계선수권대회 남자 자유형 1천500m 결승에서 14분15초51의 기록으로 1위를 차지했다.
박태환의 경쟁자였던 장린(중국)이 2009년 일본오픈대회에서 작성한 아시아 기록(14분22초47)은 물론 이탈리아의 장거리 강자 그레고리오 팔트리니에리가 2014년 카타르 도하 대회에서 세운 대회 기록(14분16초10)도 갈아치웠다.
세계기록(14분08초06)도 가진 팔트리니에리는 14분21초94로 박태환에 이어 2위로 터치패드를 찍었다.
폴란드의 보이치에흐 보이다크가 14분25초37로 동메달을 획득했다.
박태환은 전날 열린 예선에서는 14분30초14의 개인 최고기록으로 레이스를 마쳐 3조 1위, 전체 참가선수 42명 중에서는 팔트리니에리에 이어 2위로 8명이 겨루는 결승에 진출했다.
종전 개인 기록은 9년 전인 2007년 11월 독일 베를린에서 열린 경영월드컵 시리즈 때 작성한 한국기록 14분34초39였다. 자유형 1천500m 우승으로 박태환은 이번 대회에서 세 번째 금메달을 목에 걸었다.
박태환은 남자 자유형 400m에서 3분34초59로 우승해 한국 선수로는 처음으로 쇼트코스 세계선수권대회 금메달리스트가 됐고, 자유형 200m에서는 1분41초03의 대회 및 아시아 신기록을 세우고 금메달을 수확했다.
박태환은 여자 계영 200m 시상식 후 바로 남자 자유형 100m 결승 경기에도 출전하는 강행군을 펼쳤다.
혼신을 다한 박태환은 47초09로 8명 중 7위를 차지하고 이번 대회를 끝내며 2016년의 공식 일정도 마무리했다. ‘도핑 파문’으로 수영 인생에 지울 수 없는 오점을 남긴 박태환은 지난 3월 국제수영연맹(FINA)의 18개월 선수자격 정지 징계에서 풀린 뒤 훈련에 매진하며 8월 열린 리우데자네이루 올림픽에서 명예회복을 바랐다.
그러나 국가대표 규정을 내세운 대한체육회와 갈등을 빚다가 국내 법원과 국제스포츠중재재판소(CAS)의 판단을 구한 끝에 출전한 리우올림픽에서는 쓴맛만 봤다.
훈련량 부족 탓에 주 종목인 자유형 400m와 200m는 물론 100m에서도 예선을 통과하지 못했고 자유형 1천500m는 아예 출전을 포기한 채 일찌감치 대회를 마감했다. 박태환은 리우에서 실패 이후 초심으로 돌아갔다. 그러고는 차근차근 부활의 발판을 놓아갔다.
지난 10월 전국체전 자유형 200m와 400m에서 모두 대회신기록을 세우고 우승했고, 지난달 도쿄에서 열린 아시아선수권대회에서는 4관왕에 오르며 국제무대 경쟁력까지 재확인했다.
그리고 비록 올림픽 규격의 50m가 아닌 25m 길이의 경기장에서 치르는 대회이지만 FINA가 주관하는 세계선수권대회에서 3관왕에 오르며 마침내 세계 정상의 자리로 되돌아왔다.
박태환은 미국을 거쳐 조만간 귀국한다.
지난 3월 이후 8개월 넘게 강행군을 이어온 박태환은 모처럼 쉬면서 내년 7월 헝가리 부다페스트에서 열릴 세계선수권대회 출전 여부 등을 포함한 향후 계획을 세워나갈 예정이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