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와 경기과학기술진흥원의 통폐합을 놓고 진통을 겪고 있는 가운데 조직 및 체제개편 논의가 당분간 중단되게 됐다. 두 기관이 통합해 내년 1월 경기경제과학진흥원으로 출범할 예정이었지만 경기도가 초대 원장의 취임을 앞둔 상황에서 새로 취임할 원장에게 통합 및 조직운영과 관련한 모든 권한을 부여할 계획임을 밝혔기 때문이다.
경기중소기업종합지원센터는 지난 19일 이사회를 열고 신임 대표이사 후보로 한의녕 원클릭코리아 회장을 선임했다. 한 후보자는 오는 26일 열리는 경기도의회의 인사청문회를 통과하면 내년 1월 초대 경기경제과학진흥원의 초대 원장에 취임한다. 인사청문회에서도 양 기관의 통합안에 대한 문제가 집중 거론될 것으로 전망된다. 한 내정자가 인사청문회를 무난히 통과한다고 하더라도 경기도경제과학진흥원의 출범은 상당 기간 지연될 것으로 보인다. 통합을 앞두고 최근 논란이 되고 있는 직급과 보수체계 등과 관련한 논의를 새로 해야 하고, 경기과기원의 법인 청산을 하려면 몇 개월은 소요될 것이기 때문이다.
더욱이 신설될 경기경제과학진흥원은 경기지방중소기업청과 미래창조과학부 등 2곳의 법인 설립 승인을 받아야 하는 절차가 남아 있다. 이같은 이유는 당초 경기중기센터와 경기과기원의 기관 성격과 특성에 따라 양쪽 주무관청의 승인을 받아 설립됐기에 향후 원활한 업무추진을 위해서다. 그러나 이 과정에서 경기지방중소기업청이 통합 진흥원의 출범에 제동을 걸고 나섰다. 진흥원 업무의 주무관청이 미래부와 같이 2곳이 되면 연계 업무 추진 등에 혼선을 빚을 수 있어 한 곳으로 일원화해야 한다는 입장이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며칠 전 열린 경기중기센터와 경기과기원이 각각 이사회를 열었지만 통합 안건과 법인 해산 안건에 대해서는 논의조차 하지 못했다. 특히 경기과기원의 법인 해산이 이사회에서 의결된다 하더라도 법인 해산등기와 신고, 현존사무 종결, 잔여재산 처분 및 인도 등의 청산절차를 밟으려면 최소 2~3개월이 걸릴 수밖에 없어 내년 1월 출범은 쉽지 않을 전망이다.
넘어야 할 산이 아직 많은 두 기관의 통합이 당초 예상했던 대로 진통을 겪는 것은 어찌 보면 당연한 결과다. 정부기관과 생산자단체 등의 수많은 통합을 겪어왔지만 이번 통합은 중소기업과 과학기술이 그동안 어울릴 수 없는 전혀 다른 옷을 입고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다가는 두 기관의 통합을 원점에서 재검토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올지도 모를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