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 1만855대중 인천 207대뿐
시 자체 보조금 고작 200만원
작년 보급실적 36대 그쳐 꼴찌
시, 올 대당 500만원 상향 지원
“262대 목표 보급 적극 추진”
‘글로벌 녹색수도’를 표방하는 인천시의 전기차 보급률이 전국 최하위권에 머물러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2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전국 전기자동차 등록 대수는 1만855대로 집계됐다.
전기차 보급률은 제주가 5천629대(51.9%)로 가장 많고 서울 1천498대(13.8%), 경기 650대(6.0%), 경남 559대(5.1%) 순이다.
특히 유엔 녹색기후기금(GCF) 본부가 소재해 글로벌 녹색수도를 지향하는 인천에는 전기자동차가 207대(1.9%)밖에 없어 서울과 6대 광역시 중 대전(74대), 울산(103대)와 함께 최하위권이다.
이와 함께 시는 소비자에게 정부·지방 보조금을 지원하며 전기차를 사도록 유도한 보급실적 부문에서도 7대 도시 중 꼴찌를 기록했다.
시의 지난해 1∼11월 전기차 보급실적은 36대로 서울 465대, 부산 116대, 대구 205대, 울산 43대, 광주 41대, 대전 38대에 이어 최하위다.
이는 다른 시·도보다 보조금이 매우 적다는 점이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전기차 가격은 1대당 4천만 원 안팎으로 일반 차량보다 비싼 편이나 정부는 친환경 전기차 보급 확대를 위해 지난해 1대당 1천400만 원의 차량 구입 보조금을 지원했다.
또 각 지자체는 정부보조금에 지방보조금을 보태 전기차 보급 사업을 벌이고 있다.
지난해까지 시는 지방보조금으로 고작 1대당 200만 원을 지원했다.
반면 서울은 450만 원, 부산은 500만 원, 대구는 600만 원, 제주는 700만 원을 각각 지원, 시와 큰 차이를 보였다.
기초 지자체인 경북 울릉군도 1천200만 원, 충북 청주시은 1천만 원, 전남 순천시은 800만 원을 지원, 시의 지원이 얼마나 부족한지를 실감케 했다.
이에 시는 올해 13억3천600만 원의 예산을 편성, 전기차 지방보조금을 1대당 약 500만 원까지 올리고 보급 대수도 262대로 늘릴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재정난 때문에 지금까지는 전기차 차량 보조금을 다른 시·도 만큼 지급하지 못했는데 올해는 보조금 액수와 보급 대수를 대폭 늘려 전기차 보급사업을 적극적으로 할 것이다”고 말했다.
/류정희기자 rj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