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산시가 오는 2030년까지 신재생에너지 생산 확대 등을 통해 ‘에너지 자립도시’로의 변모를 꾀한다.
1일 시에 따르면 시는 지역 특성에 맞는 에너지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2030년까지 전력자립도를 200%, 신재생에너지 전력비중을 30%까지 끌어올려 에너지 자립도시로 조성한다.
시는 에너지 자립도가 높아지면 원자력발전소 1기를 대체하는 효과를 거둘 수 있고 원전 가동에 따른 환경오염 문제도 해결될 것으로 보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가정 에너지진단 등 에너지 소비 줄이기 사업과 신재생에너지 보급에 나서고 있다.
시는 안산도시공사, 안산환경재단, 시민햇빛발전협동조합 등 관계기관에 원전 1기 줄이기 참여를 유도하고 실천사업으로 가정 및 공동주택에 LED등 보급, 에너지 다소비 가정에 에너지 진단 및 컨설팅 등을 해주고 있다.
시는 신재생에너지 보급 시민펀드 활성화, 육교 등을 활용한 공공건물 태양광 발전시설 보급, 시화 MTV 친환경 에너지타운 조성도 추진하고 있다.
대부도 방아머리 일원에는 내년 말까지 민간자본 170억 원과 시·도비 140여억 원을 들여 LNG(액화천연가스) 공급기지와 연료전지발전소(총 2㎿ 규모)를 갖춘 에너지타운을 조성할 계획이다.
LNG 기지가 들어서면 대부도 전체 4천200여세대 중 절반 가량에 도시가스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시는 또 한국에너지공단과 연계해 올해 태양광, 지열, 태양열, 소형풍력, 연료전지 등 신재생에너지 설비를 설치하는 주택에 모두 2억4천만 원을 지원하는 신재생에너지 주택 지원사업도 추진한다.
이 같은 시책을 통해 시는 지난해 84%였던 전력자립률을 오는 2018년 95%, 2020년 120%, 2030년 200%로 향상시키고 신재생에너지 전력비율은 지난해 8.85%에서 2018년 12%, 2020년 18%, 2025년 25%, 2030년 30%까지 높일 방침이다.
시 관계자는 “에너지 자립도 200%를 달성하면 건설비와 해체비, 폐기물관리비 등을 포함한 원전 1기를 줄이는 비용과 맞먹는 4조6천억 원 가량을 절감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안산=김준호기자 jhki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