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컨트롤타워 사라진 삼성… 업무 공백·혼란 최소화 시급

60개 계열사 ‘각자도생’의 길로
‘삼성’ 이미지 약화 가능성 커
중복투자 채용규모 축소 우려
사회공헌 등 순기능 유지 관건

미래전략실을 해체한 삼성이 1일부터 60개 계열사별로 이사회를 중심으로 독자경영에 나서는 자율경영 체제에 들어갔다.

삼성전자·생명·물산 등 3대 주력 계열사가 ‘대관 업무’를 제외한 미전실의 다른 기능을 한다고 하지만, 예상치 못한 업무상 공백이나 혼란 등이 발생할 수 있는 것으로 예상된다.

우선 삼성이라는 통일된 브랜드 이미지는 지금보다는 약화될 가능성이 크다.

이와 관련, 삼성그룹 이름으로 관리되던 홈페이지나 블로그 등은 모두 폐지된다. 그룹 차원의 사회공헌활동도 사라진다.

그만큼 그룹의 이미지는 희석될 수 밖에 없으며, 삼성 계열사들은 그동안 그룹의 우산 아래에서 누렸던 시너지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게 됐다.

거액의 적자를 냈던 삼성중공업 등 경영난을 겪는 계열사는 그룹 차원의 지원을 기대할 수 없기 때문에 한층 더 긴장해 독자생존을 모색해야 한다.

그룹 차원의 업무조정 기능이 폐지되기 때문에 한 계열사가 추진하는 사업을 다른 계열사도 하게 되는 중복투자가 현실화될 수도 있다.

신입사원 채용도 앞으로 계열사가 필요에 따라 알아서 뽑는 방식으로 전환되면서 전체적인 규모가 줄고, 사회적 약자 등에 대한 배려 폭도 감소할 수 있다.

그간 삼성그룹은 매년 1만명 이상의 신입·경력 사원을 뽑아왔다. 미전실이 각 계열사로부터 인력 수요를 취합한 뒤 공채 인원수를 결정했는데, 청년 취업난 해소에 기여한다는 목적으로 매년 필요 인원보다 늘려 뽑았다고 알려졌다.

미전실은 또 지방대 출신 선발 비율이나 채용 시 사회적 약자 배려 등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모든 계열사에 제시하는 역할 등도 수행했다.

하지만 앞으로는 채용과 관련된 그룹 차원의 관리가 이뤄지지 않아 시험성적이나 명문대 출신만 우대하는 풍토가 계열사들 사이에 자리 잡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대한상공회의소 관계자는 “대기업의 사회공헌에 대한 국민의 기대가 있는데, 삼성그룹의 해체로 그런 기능이 약화될까 우려된다”며 “계열사별 협의회 등을 구축해 사회공헌 등 기존의 순기능을 이어나가면서 미래 먹거리 발굴 등의 조정·협력을 해나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