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소추안 가결에 대한 `국민저항'이 확산되면서 후폭풍이 한나라당과 민주당에 대한 역풍으로 나타나자 일단 반색했다.
각종 여론조사 결과, 탄핵반대 의견이 압도적으로 우세한 가운데 40-50대와 주부층을 중심으로 우리당에 대한 지지가 늘면서 당 지지도가 40%에 육박하는 등 탄핵안 가결 정국이 총선에서 호재로 작용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여기에 야당 일각에서 탄핵안 가결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와 일부인사들의 탈당 등 `자중지란' 조짐을 보이고 있는데 대해서도 주목하고 있다.
우리당은 특히 한나라당과 민주당을 `혼란세력'으로 몰아붙이면서 `집권여당'으로서 민생.경제를 챙기는 모습 등을 통해 국민들에게 안정감을 심어주는데 주력키로 했다.
정동영 의장이 경제5단체장과 간담회를 갖는데 이어 15일 이헌재 경제부총리를 만나 경제운용 방향 등에 대해 논의키로하고, `헌정수호 국정안정비상대책위원회'산하에 민생경제특별상황실을 설치키로 한것도 이같은 맥락이다.
또한 일반 시민들의 촛불시위와 시민단체들의 탄핵반대 입장 등 `국민저항운동'이 확산됨에 따라 야당에 대한 역풍이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현재 분위기가 4.15 총선까지 이어진다면 원내 과반확보도 가능하다는 이야기가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당 핵심관계자는 14일 "판이 크게 벌어지면 정당이 할 일이 별로 없어진다"며 "우리는 국민의 힘만 믿고, 탄핵안 반대에 동참할 것이다"고 말했다.
`국민'대 한나라당.민주당세력이 연합한 `쿠데타 세력'으로 정국구도가 형성되길 기대하고 있는 것이다.
이같은 구도가 총선때까지 이어진다면 `국민의 정권을 쿠데타로 전복한 한나라당과 민주당을 심판하자'는 논리가 먹혀들어 갈 수 있다는 판단을 하고 있다.
민병두 총선기획단 부단장은 "노 대통령 취임 3-4개월만에 비노로 돌아섰던 참여연대와 경실련 등 200여개 시민단체들이 탄핵안 가결에 반대하고 있는 것은 의미있다"고 말했다.
민 부단장은 이어 "탄핵안 가결직후 실시된 여론조사가 거품요소가 있어 앞으로 우리당 지지도가 떨어질 수도 있겠지만, 그렇다고 한나라당과 민주당 지지도가 올라갈 요인도 별로 없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미증유의 변수인 탄핵안정국이 어떻게 요동칠지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는 분위기다.
야당의 `고 건 띄우기'를 통한 `노무현 지우기', 한나라당과 민주당 일각의 개헌론 등이 탄핵정국의 또 다른 변수가 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