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2 (토)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글로벌 낸드플래시 시장 1위 불변

지난해 4분기 시장 점유율 조사
점유율 37.1%로 2위 日도시바와 2배 이상 격차 벌려
3위 美 WD… SK하이닉스, 한계단 내려가 세계 5위

삼성전자가 지난해 4분기 글로벌 낸드 플래시 시장에서 2위인 일본 도시바와 점유율 격차를 2배 이상 벌리며 1위 자리를 수성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작년 4분기 낸드 플래시 반도체 시장에서 점유율 37.1%로 1위를 유지했다.

매출 규모는 전 분기보다 19.5% 증가한 44억7천390만 달러(약 5조1천444억원)였다.

삼성전자가 출하량을 11∼15% 가량 늘렸고, 평균판매가격(ASP)을 5% 이상 높였으며 매출을 20% 가까이 끌어올린 것으로 D램익스체인지는 분석했다.

삼성은 낸드플래시 시장에서 3차원(3D) V-낸드 적층 기술 등을 적용한 고용량·첨단 제품을 선도적으로 양산하며 시장 지배력을 키워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다.

특히 삼성전자는 2위인 일본 도시바와의 시장 점유율 격차를 2배 이상으로 벌렸다.

원자력반도체 사업에서의 손실로 낸드 반도체 사업부문 매각에 나선 일본 도시바는 21억9천980만 달러(약 2조5천29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점유율 18.3%를 차지했다.

2011년만 해도 낸드 플래시 시장에서 도시바가 1위였지만 이듬해 삼성전자가 이를 역전시켰다. 이후 조금씩 격차가 벌어졌지만 이처럼 2배 이상 차이가 난 것은 2012년 이후 처음이다.

이어 미국의 웨스턴 디지털(WD)이 17.7%(매출 21억2천730만 달러)로 3위, 마이크론이 10.6%(12억7천200만 달러)로 4위, SK하이닉스가 9.6%(11억5천680만 달러)로 5위, 인텔이 6.8%(8억1천600만 달러)로 6위를 차지했다.

3분기와 비교하면 SK하이닉스가 마이크론에 4위 자리를 내주며 두 회사의 순위가 뒤바꿨다.

SK하이닉스의 경우 중국 스마트폰 브랜드들의 수요로 eMCP(임베디드 멀티칩 패키지) 출하는 늘었지만 SSD 출하량은 감소한 것으로 D램익스체인지는 분석했다.

결과적으로 전체 출하량이 3%가량 줄었지만 낸드 플래시 가격의 급등으로 매출은 전 분기보다 9.0% 증가했다.

다만 마이크론이 낸드 플래시 출하량을 26%나 늘리는 등 판매를 크게 확대하며 매출이 26.9% 증가해 SK하이닉스를 따라잡았다.

D램익스체인지는 “작년 4분기 낸드 플래시 시장은 지난 한 해 중 가장 심각한 공급 부족을 겪으며 17.8%나 성장했다”며 “올해 1분기 낸드 플래시 가격도 공급 부족으로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했다./이상훈기자 lsh@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