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금한령에 따라 중국인 관광객이 급감하며 한중 항로를 운영하는 항만 업계가 직격탄을 맞고 있다.
13일 한중 카페리 업계에 따르면 중국이 오는 15일부터 한국 방문 여행상품 판매를 금지함에 따라 인천과 중국을 오가는 카페리 선사들을 이용하려는 승객들이 급감했다.
특히 일부 항로는 오는 15일 이후 운항편 예약자가 전혀 없어 카페리에 여객 없이 화물만 싣고 운항하는 사태가 발생할 전망이다.
실제 중국인 단체관광객이 주로 이용하는 인천∼톈진 항로의 경우 매주 월요일과 금요일 2차례 카페리가 운항되지만 오는 16일 톈진항을 출발해 17일 인천항 입항하는 배에는 현재까지 예약자가 한 명도 없는 상태다.
이날 오후 인천항에 들어오는 인천∼톈진 카페리에도 여객정원 800명의 65%에 불과한 516명이 승선하는 데 그쳤다.
인천~톈진 카페리는 수시로 만선인 상태로 운행됐던 것에 비해 이 같은 우려가 현실이 되고 있는 것이다.
또 인천∼중국 카페리 10개 항로는 전체 한중 카페리 여객의 60% 이상을 운송하고 있어 심각한 타격을 입을 것으로 예상된다.
게다가 ‘보따리상’으로 불리는 농·공산품 거래 중심의 상인 이용객이 거의 없는 인천∼다롄·단둥·잉커우·친황다오 항로가 큰 피해를 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항만 업계는 지난 2012년 센카쿠 열도를 둘러싼 중·일 분쟁 사례에서 보듯 중국의 전방위 보복이 1년 이상 장기화할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한 선사 관계자는 “사드 배치와 관련해 한중간 외교적 절충안이 마련되기 전까지 관광객 감소가 지속될 것이란 어두운 전망이 지배적인데 반해 뚜렷한 대책도 세울 수 없는 게 현실이다”고 토로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