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학교체육 활성화 위해 1878개 학교에 37억 투입
3~5월 학생체력 정시평가·7~11월 수시평가 의무화
7560+운동·상담교사제 강화·실내체육실 운영 등
경기도교육청이 도내 초·중·고교 비만학생들을 보다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내용을 담은 ‘2017학년도 학생 체력증진 기본계획’을 28일 발표했다.
계획에 따르면 도내 모든 학교는 도교육청이 만든 ‘학생 체력증진 활성화 지표(경도비만 및 고도비만, 체력평가 4∼5등급인 저체력 학생)’에 해당하는 학생들을 선별한 뒤 학교별 체력증진 기본계획을 수립해야 한다.
또 정확한 학생 체력 관리를 위해 그동안 자율적으로 시행하던 학생건강체력평가제(PAPS)를 3∼5월 중에 정시평가를, 7∼11월 중에는 수시평가를 각 1회 이상 의무적으로 해야 한다. 이와 함께 학생건강체력평가 지역별 상담교사제와 건강체력교실 운영도 강화해야 한다.
도교육청은 비만군 등 학생들의 운동량을 늘리기 위한 7560+운동(정규 수업시간 외 일주일 7일 중 5일 이상 60분 이상의 신체활동 프로그램 운영)을 개발, 장려하기로 했다.
또 체육관이 없는 학교를 대상으로 교실 2개 크기의 실내 공간 바닥과 벽에 매트를 설치해 실내체육실로 활용할 수 있도록 예산을 지원할 방침이다.
올해는 3개 학교에 총 4천500만 원을 시범 지원한 뒤 효과성 및 문제점 분석을 바탕으로 현장적용 타당성을 검토해 오는 2018년부터 지원을 확대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놀이교육 선도교육, 체육교육정책연구회, 건강체력교실 운영, 학교스포츠클럽 선도학교 운영 등 12개 사업을 추진하는 학교 1천878곳에 37억1천만원을 지원한다.
따라서 도교육청은 학생 체력증진 기본 계획 추진 및 학생 체력증진 활동 지원, 학생건강체력평가제, 학교체육 활성화 등을 통해 학생들의 건강 체력 향상에 총력을 기울일 계획이다.
맹성호 도교육청 체육건강교육과장은 “도내 경도, 고도비만 초중고 학생이 16만 명이 넘는다. 생활 속에서 즐기는 행복한 체육활동으로 학생들이 체력을 증진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며 “운동 시간이 부족한 학생들이 언제 어디서나 마음껏 체육활동을 할 수 있도록 체육시설 확보 및 프로그램 지원에 다각적인 노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상훈기자 ls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