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9.16 (화)

  • 맑음동두천 25.8℃
  • 구름조금강릉 27.3℃
  • 맑음서울 26.6℃
  • 구름많음대전 25.0℃
  • 흐림대구 22.6℃
  • 흐림울산 23.8℃
  • 구름많음광주 24.8℃
  • 흐림부산 27.2℃
  • 구름조금고창 25.2℃
  • 제주 24.5℃
  • 맑음강화 25.7℃
  • 구름많음보은 24.4℃
  • 구름많음금산 25.9℃
  • 구름많음강진군 26.3℃
  • 흐림경주시 22.1℃
  • 구름많음거제 25.3℃
기상청 제공

`민주-반민주'냐 `친노-반노'냐

여야 총선 대결구도 신경전

29일 앞으로 다가온 총선전이 `친노-반노'냐, `민주-반민주'냐의 대결 구도로 압축되는 양상이다.
야권은 4.15 총선전에서 `노무현 정권 심판론'을 전면에 내세울 계획이다. 노대통령의 지난 1년 실정을 부각시키며 탄핵안 가결의 정당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다.
한나라당 핵심 관계자는 17일 "이번 탄핵안은 노무현 정권의 무능과 실정을 심판한 것인 만큼 총선 민심도 친노냐, 반노냐로 갈릴 것이며, 이 경우 반노진영이 결과적으로 유리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반면, 열린우리당의 박영선 대변인은 "우리당의 총선 슬로건은 민생안정과 민주수호"라면서 "결국 이번 총선은 민주세력과 의회폭거를 자행한 반민주 세력간의 대결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현 탄핵안 가결 정국에서 여야의 극명한 인식차가 잘 드러나는 대목이다. 친노-반노로 가면 야당에 유리하고 민주-반민주로 가면 여당에 유리하다는 얘기다.
현재까지는 민주-반민주 구도가 정국을 압도하고 있는 모양새다. 각종 여론조사결과 노 대통령의 국정운영에 비판적이었던 다수의 여론이 탄핵안 가결의 부당성을 지지하는 쪽에 서 있기 때문이다. 이는 `의회폭거 반민주' 주장에 동조하고 있다는 얘기로도 해석할 수 있다.
탄핵 정국 이전 여권은 오히려 `친.반노' 구도를 은근히 선호한 적이 있었다.최소한 친노 성향의 표심, 지난 대선에서 노 대통령에게 표를 찍었던 유권자를 확보하면 개헌저지선(100석)은 확보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자체 판단에서였다.
하지만 지금은 상황이 달라졌다. 최근 정당지지율대로라면 원내 제1당이 아니라 압도적 과반도 가능할 수도 있게 됐다는 판단에서다.
원내 과반이 되기 위해서는 친노 세력의 결집만으로는 불가능하다. 그래서 범위를 범민주세력의 결집으로 확장시킨 것이다.
이에 대해 야권의 반격도 만만치 않다. 한나라당과 민주당은 일단 이같은 여론의 쏠림을 `방송의 편파보도'에 인한 것으로 규정하고 방송과 날카로운 각을 세웠다.
이어 노 대통령이 지난 11일 기자회견에서 발언한 `총선-재신임 연계론'을 탄핵심판에 추가해 기소키로 했다.
최근 강금실 법무장관의 `탄핵 취하' 발언에 대해서도 `제2의 노무현'으로 몰아 붙이며 강공을 펴고 있고 더 나아가 고 건 총리의 대행체제를 `안정'으로 극찬하면서 은근히 노 대통령과 고 권한대행의 정국운영 스타일 차별화 작업에 나서고 있기도 하다. 친노-반노의 대립각을 세우기 위한 전략적 행보인 셈이다.
노 대통령에 대해 비판적이면서도 `촛불시위'에 참여하고 있는 상당수 유권자들을 주저하게 만들수만 있어도 여론의 반전을 가져올 수 있다는 것이 야권의 속내인 듯 하다.
이같은 구도는 선거가 임박하면 할 수록 한나라당과 우리당의 양강구도 고착화로 나타날 개연성이 크며 30% 안팎에 이르는 부동층의 선택을 압박하는 효과도 가질 것으로 보인다.






배너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