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지도부가 비례대표 후보군의 윤곽을 잡은 상태에서 외부인사 추가 영입에 나서자 당내 반발이 일고 있다.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 지지율 급등을 계기로 우리당 비례대표에 대한 `외부'의 관심이 부쩍 커지면서 생긴 현상이다.
우리당은 50% 안팎으로 치솟은 당 지지율 추이를 감안, 비례대표 안정권을 17대 국회 전국구 의석(56명)의 절반을 상회하는 30명으로 늘려잡은 상태다.
유시민 의원은 18일 비상대책위원회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지도부를 겨냥, "과거 당을 저주하고 조롱하거나 신문에 광고까지 내 악담을 퍼붓던 사람을 영입한다는 게 말이 되느냐"면서 "우리당은 장관이나 신문사 편집국장 지낸 사람을 모셔 국회의원을 만들어주는 자원봉사 조직이 아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한 핵심당직자도 "낮에는 국방군, 밤에는 공산당 하는 소신 없는 사람은 당이 어려움에 처하면 가장 먼저 도망가기 마련"이라며 "당의 지지율이 올랐다고 원칙 없
이 받아들였다가는 정체성이 뿌리째 흔들릴 것"이라고 우려했다.
비례대표 공천을 신청한 여성 후보들의 반발은 더욱 노골적이다. 비례대표 안정권에 배치될 외부인사들이 대부분 여성이 될 것이라는 관측이 많기 때문이다.
한 여성후보는 "대중에 얼굴 좀 알려진 이유 하나로 몸값을 높이고 있다가 한나라당과 민주당이 죽게 생겼으니까 우리당에 붙으려 한다"며 "바깥에만 곱게 포장된 기회주의자들은 차제에 단호히 배격해야 한다"고 목청을 높였다.
그러나 지도부는 국민에게 안정감을 심어주고 책임있는 집권여당의 이미지를 부각하기 위해서는 추가 영입이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특히 이번 총선에 지역구와 전국구 투표를 따로 하는 정당명부제가 도입되는 만큼 사회적 명망가의 상위순번 공천이 전체적인 총선전략 차원에서 불가피하다는 논리를 펴고 있다.
`기회주의' 논란에 대해서도 김희선 의원은 "탄핵안 가결후가 아니라 오래전부터 당에서 영입 노력을 기울여온 분들"이라고 일축했다.
추가영입 대상자로는 삼성그룹의 현직 CEO인 L씨, 전직 장관 H, 언론인 출신 K,J, 현직 교수 P씨가 거명되고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