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의학칼럼]손저림(손목굴증후군)

 

양손이 저리다며 외래 진료실로 내원하셔서 “손저림이 혹시 내가 뇌졸중(중풍)이 아닐까” 걱정하시는 분들이 많습니다. 특히 주위 분들의 말이나 인터넷 정보만 믿고 손이 저리면 “말초 혈액순환장애 때문이다” 혹은 “뇌졸중의 초기 증상이다.”라고 지레 짐작하고 미리 겁부터 내는 사람이 많습니다. 그렇지만 이것은 대부분 잘못된 의학 상식으로, 혈액순환장애에 의한 손저림은 매우 드뭅니다.

손저림 증상의 대부분은 손목굴증후군이라고 하는 국소적인 말초신경병 때문에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손목굴증후군이란 손과 손가락의 감각을 담당하는 정중신경이 손목의 손목굴(터널)에서 압박되어서 나타나는 질병입니다. 손목굴(터널)은 손목의 뼈와 손목 가로인대로 둘러싸인 통로로, 원래 좁기 때문에 손가락을 움직이는 근육의 힘줄과 함께 손바닥의 감각을 지배하는 정중신경이 이 부위를 통과하면서 쉽게 압박될 수 있습니다.

손목굴증후군 증상은 흔히 중년 여자에서 흔하며, 갑자기 나타나지 않고 서서히 발병하며, 손바닥 쪽에만 증상이 있고 새끼손가락이나 손등에는 증상이 없으며, 한 손만 심하게 저릴 수도 있지만 양손에서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운전 도중이나 높은 곳에 있는 손잡이를 잡고 있을 때 증상이 심해집니다. 특히 밤에 증상이 악화되며 자다가 저려서 잠에서 깨어나서 손을 주무르거나 털게 됩니다. 더욱 진행되면 엄지두덩이 근육이 위축되어 납작해져서 원숭이 손처럼 되고 엄지손가락 기능이 장애로 젓가락질이 서툴러지고 물건을 잘 떨어뜨립니다. 그러나 증상은 항상 손에서만 나타납니다.

손목굴증후군의 원인으로는 중년 여성분들의 과도한 손목 운동이나 외상, 류마치스성 및 골관절염, 건염, 갑상선기능저하증, 유전분증, 임산부, 당뇨병 등이 알려져 있습니다.

손목굴증후군의 진단은 신경전도검사 및 근전도검사로 확진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혈액이나 소변검사 등으로 원인 질환을 규명하고 드물게는 방사선검사(MRI 혹은 CT)가 필요한 경우도 있습니다. 치료는 보존적인 방법과 수술적인 방법이 있습니다. 보존적 요법은 신경의 손상이 심하지 않을 때 시도하는데 우선 손목의 휴식이 필요하고 이와 더불어 경구 약물요법이나 스프린트 등의 보조기 사용 및 스테로이드 주사 등의 치료로 많이 호전되지만, 원인에 따른 치료가 병행되어야 합니다. 손상이 심하거나 보존적 요법으로 호전되지 않으면 손목굴을 열어주는 수술을 하게 됩니다. 요즘은 내시경으로 수술을 할 수 있어 흉터를 최소화하여 증상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그러나 구체적인 치료 방법의 선택은 치료 방법의 장단점을 의사와 충분히 상의한 다음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예방인데 재발을 방지하고 예방하기 위해서는 지나친 손목이나 손 운동을 억제하고 작업환경을 개선하여서 손목의 부담을 덜어주어야 합니다. 특히 전동공구를 사용하시는 분, 마우스나 키보드를 많이 사용하는 컴퓨터 관련업종 종사자나 그 외 손을 많이 사용하시는 분들에서 주로 발생하나 일부는 다른 병들과 연관되어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전문의와 상의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