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26일 탄핵정국으로 형성된 정국구도가 총선까지 계속된다면 향후 열린우리당의 1당 독재가 현실화할 것이라는 `1당 독재론'을 거듭 부각시키는 등 `거여 견제'를 한층 강화했다.
한나라당은 열린우리당이 이를 두고 "거야의 엄살"이라고 반박하자 "엄살을 부리는 것은 그쪽"이라며 "1당 독재의 망상에서 벗어나야 한다"고 받아쳤다.
장광근 의원은 운영위원회의에서 박근혜 대표에게 "틈나는대로 기자들에게 육성으로 `1당독재를 막아야 한다'고 강조해달라"고 주문했다.
총선에서 살아남기 위해 `아직은 한나라당이 할 일이 있지 않느냐'고 국민의 가슴에 박 대표가 나서 직접 호소해 달라는 것이다. 그동안의 `친노-반노'구도의 총선 전략은 용도폐기해야 한다는 뜻이기도 하다.
이에 대해 박 대표는 "친노,반노로 몰아가는 것은 나라를 위해 나쁜 일로, 이럴 경우 앞으로 입법부가 어떻게 되겠는가"며 "총선은 지역에서 훌륭한 인물을 뽑고 국정을 심판하는 의미를 갖는 것"이라고 `거여' 견제를 재차 강조했다.
한나라당은 김한길 열린우리당 총선기획본부장이 "거야의 엄살"이라고 반박하고 나서자 신문.방송사의 최근 여론조사 결과에서 드러난 열린우리당의 지지도 상승 사실을 환기하며 "추풍령 이북 한나라당 후보는 추풍낙엽"이라고 재반박했다.
안상정 부대변인은 구두논평에서 "정동영 열린우리당 의장이 오늘 대구.경북(TK) 27개 선거구중 `절반 가량의 의석을 확보하는 것이 희망'이라고 말했다"며 "한나라당 당세가 가장 강한 TK지역에서 과반 의석을 얻겠다는 것은 1당 독재의 망상을 여지없이 드러낸 것"이라고 주장했다.
박세일 공동선거대책위원장도 `보수표 결집을 위한 엄살이 아니냐'는 질문을 받자 "전문가들은 (열린우리당이) 250석까지 육박할 가능성이 상당히 높다고 한다"며 현실인식임을 강조한 뒤 "이대로 가면 1당 독재의 유혹을 받게 된다"고 거듭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