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23 (토)

  • 구름많음동두천 29.3℃
  • 맑음강릉 33.1℃
  • 구름많음서울 29.7℃
  • 구름조금대전 30.6℃
  • 구름조금대구 30.8℃
  • 맑음울산 31.3℃
  • 구름조금광주 30.5℃
  • 맑음부산 31.2℃
  • 맑음고창 31.0℃
  • 맑음제주 31.5℃
  • 구름많음강화 28.8℃
  • 구름조금보은 27.9℃
  • 맑음금산 29.4℃
  • 구름조금강진군 30.8℃
  • 맑음경주시 31.7℃
  • 구름조금거제 30.6℃
기상청 제공

[잡코리아]신중년 귀농·귀어·귀촌 활성화 방안

 

정부는 700만 베이비부머 세대의 본격적인 은퇴에 발맞춰 베이비부머 세대인 50~60대를 ‘신중년’으로 새로 규정하고, 이들에 대한 보다 강화된 일자리 지원 정책을 마련하기로 했다. 신중년은 부모님을 봉양하고 자식들을 부양하면서 정작 자신의 노후는 준비 못한 세대이다. 노동시장에 재진입 하려는 신중년은 증가하고 있지만 신중년에게 적합한 양질의 일자리는 갈수록 줄어들고 있다. 통계에 의하면 신중년의 노동시장 참여율은 높지만 일자리 질은 나쁜 편이다. 정부의 신중년에 대한 일자리 지원 정책이 다소 늦은 감은 있지만 하루 빨리 정책을 구체화시켜 일자리문제로 고통 받는 신중년에게 희망을 주어야 한다.

정부는 신중년의 생애경로를 ▲재취업 ▲창업 ▲귀농·귀어·귀촌 ▲사회공헌 등으로 나누어 실태를 점검하고, 관련 지원 기반을 구축하기로 했다. 귀농·귀어·귀촌을 신중년 생애경로의 한 축으로 판단했다는 것이 신선하다. 정부가 발표한 ‘2016년 귀농,귀촌인 통계’에 따르면, 귀농, 귀촌인구는 총 33만 5천383가구, 49만6천48명이라고 한다. 최근 5년간 연평균 2.9% 증가한 것인데 700만 신중년의 본격적인 은퇴가 시작되면 귀농·귀어·귀촌 인구는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신중년들이 귀농·귀어·귀촌을 선택하는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것이 사실이지만 적응하지 못하고 실패해서 다시 도시로 복귀하는 사람들도 많은 것이 현실이다.

귀농·귀어·귀촌이 신중년 일자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안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실패사례를 통해 교훈을 얻을 수 있어야 한다. 필자는 시골 소도시 출신이고 농사를 짓는 친척분들이 많아 농사를 짓는 것이 얼마나 힘들고 어려운 일인지를 몸으로 느끼고 있다. 하지만 귀농·귀어·귀촌을 생각하는 많은 신중년들은 전원생활의 낭만에 젖어 있는 경우가 많다. 낭만적인 생활만 생각하고 섣불리 결행했다가 실패의 쓴 잔을 맛보게 된다. 가족 해체의 경험을 하는 경우도 있다. 귀농·귀어·귀촌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가족의 동의가 필수적이며 특히 배우자의 확실한 지지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간혹 귀농·귀어·귀촌에 확고한 뜻을 가진 남편과 달리 도시 생활의 편리함에 익숙한 주부들 같은 경우에는 생활 편의시설 등 모든 것이 부족한 귀농 생활에 대한 두려움이 크다. 소득에 대한 부분도 고려해야 한다. 귀농·귀어·귀촌 정착 첫해 평균 소득이 1천782만원으로 귀농 직전 소득의 약 40% 수준으로 파악되었다. 갑자기 줄어든 소득에 대한 대비가 없으면 생활고를 겪을 수도 있다. 따라서 소득과 지출 등 재무상황에 대한 꼼꼼한 분석과 준비가 선행되어야 한다.

필자는 귀농·귀어·귀촌의 성공사례를 많이 만들기 위해서는 실패 사례를 통해 어떤 부분이 정책적으로 지원되어야 할지에 대한 파악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서울 등 대도시에서 생활을 해오셨던 분들이 기존 생활 패턴을 모두 포기하고 낯선 지방으로 내려가는 것은 현실적으로 쉽지 않은 선택이다. 따라서 대도시 인근에 위치하여 도시 생활 기반 시설들을 이용할 수 있고 귀농·귀어·귀촌을 통한 인구유입을 원하는 지자체를 적극적으로 발굴할 필요가 있다. 지자체가 보유한 토지가 있으면 주택 혹은 공동경작을 위한 시설 구축에 활용하는 것도 검토해 봐야한다. 또한 소득기반을 안정화시키기 위해 ICT를 활용한 스마트 팜 시스템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성공사례로 많이 소개된 청량버섯농원은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해 느타리버섯을 재배하는 스마트 팜 우수농가로, 연 33억원의 매출을 올렸다. 정부는 ICT 시스템 구축을 통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작물에 대한 적극적인 발굴과 시스템 구축을 위한 정부의 재정적인 지원이 필요하다.

도심 근교에 도시 생활권을 누릴 수 있는 지자체를 발굴하고 스마트 팜 구축에 필요한 작물 및 재정, 기술지원이 효과적인 이루어질 때 귀농·귀어·귀촌은 성공할 수 있으리라 생각한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