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자리를 희망하는 신중년은 갈수록 증가하고 있으나 신중년 일자리 질은 나쁘다. 전체등록 자영업자 중 50대가 32.4%로 가장 많았고, 40대가 27.7%, 60대 이상이 24.7%였다. 30대 이하 젊은 층의 비중은 15.1%에 불과했다. 50~60대 신중년이 약 60%를 차지할 정도로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이런 결과는 신중년이 갈 수 있는 양질의 일자리가 갈수록 줄어들다 보니 울며 겨자 먹기로 자영업을 선택하는 경우가 증가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실제로 자영업 신규 창업은 2010년 98만명까지 떨어졌다가 이후 오름세를 지속해 2015년에는 106만명까지 늘었다. 인력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로 기업 재취업이 사실상 어렵기 때문에 신중년 자영업 창업은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인력수요 측면에서는 구조적 저성장이 지속되면서 기업의 신규 채용 여력이 갈수록 악화되고 있고 인력공급 측면에서는 베이비부머의 은퇴 가속화와 한계기업의 속출에 따른 구조조정, 명예퇴직 등으로 노후준비가 안된 신중년의 노동시장 재진입이 증가하고 있다. 문제의 심각성은 인력 수요와 공급의 미스매치가 개선될 가능성이 크지 않다는 점이다. 재취업이 어려운 상황에서 떠밀리듯 창업을 하다 보니 창업자 10명 가운데 7명은 3년 안에 문을 닫아 폐업률이 70%에 달한다. 퇴직금 등 노후자금을 투자하여 시작한 창업이 실패했을 때 재기가 쉽지 않다. 신중년 창업 실패 원인은 다양하겠지만 창업 준비의 부족과 경영관리 및 위기대처 능력이 취약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필자는 자영업 창업을 고민하는 신중년과 상담을 할 때면 가급적 창업을 하지 말라고 한다. 창업을 해서 성공하기가 힘들기 때문이다. 영세 자영업자가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변화에 유기적으로 대응한다는 것도 쉽지 않고 투자(자본, 노동)대비 수익이 기대치에 못 미치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자영업체들의 산업별 분포를 보면 도·소매업 23.6%, 부동산·임대업 21.5%, 숙박·음식업 14.6% 등 특정 산업에 비중이 높다. 이러한 사실은 산업 내 경쟁이 치열하고 신중년 창업자가 기존 업체와의 경쟁에서 이긴다는 것이 쉽지 않다는 반증이다.
불가피하게 창업을 선택할 수밖에 없는 신중년들도 계실 것이다. 창업을 해야 하는 상황이라면 잘 준비해서 성공을 해야 한다. 필자도 카페 창업을 해서 실패를 해본 경험이 있다. 필자의 경험을 기반으로 신중년 자영업 창업을 준비하시는 분들이 고려해야 할 점 몇 가지를 언급하고자 한다.
첫째는 자신이 잘 아는 분야로 창업을 하라는 것이다. 신중년 분들이 실패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가 자신이 잘 모르는 분야를 하기 때문이다. 남들이 괜찮다고 하니깐 유행을 쫓아가듯 창업을 해서는 실패할 가능성이 높다.
둘째는 초기 투자 비용을 최소화 하라는 것이다. 필자는 사업 초기에 많은 비용을 투자하는 것은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한다. 투자 비용 분산을 위해 권리와 의무관계를 명확히 한 동업계약서를 작성한 후 동업을 하는 것도 괜찮다고 생각한다.
셋째는 고정비를 최소화 해라. 고정비는 임대료, 인건비 등 고정적으로 나가는 비용을 의미하는데 사업초기에는 고정비 관리가 특히 중요하다. 현금흐름이 검증되지 않은 상태에서 고정비 부담이 크면 자칫 자금난에 빠질 수 있다.
넷째는 마케팅에 신경써라. 경쟁업체와 제품이나 서비스의 질에서 큰 차이가 없다면 마케팅을 잘해야 한다. 최근에는 검색,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광고가 중요시 되고 있다. 소셜미디어는 큰 비용을 투자하지 않고 높은 효과를 볼 수 있기 때문에 소셜미디어에 대한 활용능력을 키워놓는 것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끊임없는 혁신이 필요하다. 안주하는 순간 망한다. 제4차 산업혁명 등 사회의 변화 속도는 가파르다. 세상 변화에 뒤쳐지지 않기 위한 꾸준한 자기계발이 중요하다. 신중년 자영업 창업 시 이러한 부분을 고려하는 것이 리스크를 줄일 수 있는 길이라 생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