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수·구청장 등 모여 토론회
인천시와 부평구, 지역 정치권이 ‘한국지엠 철수 반대’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24일 인천지역 군수·구청장협의회와 구 등에 따르면 이들은 지난 23일 인천 문화예술회관에서 인천시민과 정제계, 한국지엠 관계자 등 400여 명이 참가한 가운데 ‘한국지엠 사업재편 움직임에 따른 토론회’를 개최했다.
이날 토론회에서 홍미영 부평구청장은 “한국지엠은 최근 ▲생산물량 감소 ▲갑작스런 사장 사임 ▲산업은행 지분(비토권) 만료 등의 3중고에 빠져 공장 철수 얘기가 지속적으로 흘러나오고 있다”고 지적했다.
게다가 “한국지엠 철수는 부평만의 문제가 아닌 협력업체가 산재해 있는 인천 전체의 현안”이라며 “이번 토론회를 계기로 지역사회가 한국지엠 살리기 공감대를 형성한다면 자동차 메카 인천의 명성을 계속 유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윤석진 인천발전연구원 연구위원은 “한국지엠은 생산기지 외에 디자인 및 연구개발 기능을 보유, 글로벌 지엠 중에서도 경쟁력을 갖추고 있다”며 “한국지엠 구조 개편과 관련해 여러 가지 시나리오를 갖고 대응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안재원 전국금속노동조합 연구원도 “쌍용차와 한국지엠 모두 제대로 투자를 하지 않은 게 생산 감소의 원인다”며 “문재인 정부의 30만 일자리 및 노동자 존중 정책은 한국지엠 사태에 어떻게 대응하느냐에 따라 확인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제홍 시의원은 “시도 9월에 한국지엠 사업개편과 관련한 간담회를 열 계획인 만큼 국회의원 등 정치권이 제 역할을 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날 토론자 상당수는 한국지엠과 관련 비관론이 확산되는 게 근본적 문제라며 산업은행의 비토권 만료가 쉽게 결정되는 사안이 아닌 만큼 대책마련과 토론을 지속적으로 해나가자고 입을 모았다.
한편, 이날 한국지엠협신회 이정우 회장은 “지역 협력업체 살리기를 위해서라도 관용차부터 한국지엠차량을 구입해 달라”고 호소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