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국보훈(護國報勳)은 나라를 위해 헌신, 희생한 이들을 추모함으로써 공로에 보답한다는 의미이다. 일제 강점기 빼앗긴 나라의 독립을 위해 극한의 추위와 굶주림 속에서 싸운 독립군과 6.25 전쟁 때 포연 속에서 나라를 지키고자 귀한 생명을 바친 참전 용사, 독재정권을 타도하고 이 땅의 민주화를 이루기 위해 고통을 마다하지 않은 민주화 유공자들이 있어 오늘날 우리가 평안한 삶을 누리고 있다. 그러나 우리는, 이 나라는 이런 영웅들을 잊거나 공훈의 보상에 인색했다.
물론 이분들의 희생은 보상을 바란 일이 아니지만, 우리가 모른 척한다면 앞으로 누가 나라와 민족을 위해 몸을 아끼지 않고 나설 수 있을 것인가? 지난 16일자 본란에서도 언급했지만 우리나라에서는 광복 후에도 애국지사와 후손들이 고통의 세월을 보내야 했다. 반민족행위를 한 친일부역자들과 그 후손들은 득세하고 있는데 말이다. 따라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8.15 경축사를 통해 ‘독립운동가의 3대까지 예우, 생활을 지원하고 국가를 위해 순직한 군인과 경찰 소방공무원 유가족의 지원을 확대하고 공훈에 보답하겠다’는 약속에 국민이 뜨거운 박수를 보낸 것이다.
문 대통령의 약속대로 독립·참전·민주 유공자들에게 지급하는 보상금 대폭 인상된다. 그뿐만 아니라 군 복무 중 부상이나 질병으로 전역한 제대군인들이 국가유공자로 대우받을 수 있도록 등록 및 심사기준도 완화하기로 했다. 지난 28일 국가보훈처는 문 대통령에게 이런 내용의 업무보고를 하고 토의도 했다. 우선 생존 독립운동 애국지사에 대한 특별예우금을 대폭 인상키로 했으며 보상금을 받지 못하는 생활형편이 어려운 (손)자녀에 대한 생활지원금도 신설한다. ‘독립운동을 하면 3대가 망한다’는 가슴 아픈 항간의 인식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외국에서 영주 귀국한 독립유공자 후손에 대한 주택 공급도 모든 가구주로 확대하는 등 제한을 두지 않는다.
또 참전유공자의 참전 명예수당을 인상하고, 참전유공자가 보훈병원이나 보훈처 위탁병원에서 치료받을 때 비용 감면 혜택도 늘어난다. 살아 있을 때 제대로 보답하자는 취지다. 여기에 더해 민주 유공자의 공헌을 정당하게 예우하자는 취지에서 4·19혁명 공로자 보상금도 인상한다.(본보 29일자 1면) 보훈처에 따르면 독립운동 순국자는 15만 명인데 이중 포상자는 1만5천여 명 밖에 안된단다. 6.25 참전용사도 점점 고령화되고 있다. 늦은 감은 있지만 정부의 조치를 환영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