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지난 4일과 5일 양일간 전국 지자체, 발전사업자, 산업체 관계자 등 300여 명이 모인 가운데 해상풍력과 해양에너지를 주제로 에너지신산업 투트랙 세미나를 개최했다고 밝혔다.
이번 세미나는 문재인 정부의 탈 원전, 탈 석탄화력 발전 등 에너지 정책변화에 맞춰 기존 에너지 중 20%를 오는 2030년까지 재생에너지로 대체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첫 세미나에서는 ‘지자체 주도 국가해상풍력발전단지 조성 전략’이란 주제로 사례 발표와 풍력산업기술, 풍력발전과 지역산업 연계방안, 법규·제도 및 인·허가 혁신방안 등이 다뤄졌다.
이날 첫 발제에 나선 제주에너지공사 김태익 사장은 제주도 풍력자원개발 추진상황을 소개하면서 제주도가 운영하는 풍력자원 개발 이익공유화의 제도 운영 취지와 앞으로 추진할 도민 참여형으로 신재생에너지 사업계획도 발표했다.
이후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성진기 팀장은 해상풍력 산업화를 위한 법규 제도 및 인·허가 혁신 방안을 발표하면서 산업화 핵심전략으로서 관련 인·허가 원스톱 서비스 방안, 국무총리를 위원장으로 하는 해상풍력 개발위원회 신설, 해상풍력 지구지정제(계획입지)등을 제안했다.
두번째 세미나에서는 ‘해양에너지 조류발전 신산업 창출 및 발전방향’이란 주제로 인천시 에너지정책과 조현오 팀장이 에너지신산업 30-20전략을 발표했다.
이어 현대건설 고광오 박사, 인하대하교 조철희 교수가 국내 조류발전 개발과정과 조류발전에 미칠 수 있는 간섭현상 등을 짚어봤다.
특히 조류발전 상업화에 성공한 영국 아틀란티스사의 티머시 코넬리우스(Timothy Cornelius) 교수가 영국메이젠 조류발전단지를 사례로 인천의 조류발전단지 타당성 언급해 눈길을 모았다.
영국 조류발전설비 제작사인 오픈하이드로의 앤드류 굿 박사(Andrew Good)와 카메론 존스톤(Cameron Johnstone) 교수는 조류발전의 상업화 사례와 영국조류 발전을 소개했다.
시 관계자는 “지속가능한 도시에너지 기반 마련을 위해서는 태양광발전으로는 한계가 있는 만큼 해상풍력, 해양에너지 등 대형 발전 사업이 가능한 해양으로 눈을 돌려야 한다”며 “이번 세미나에서 언급된 내용들은 전국 지자체와 함께 중앙정부와 지속적으로 협의해 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