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기아자동차에 이어 한국지엠 노조도 5일 오전 부분 파업에 들어갔다.
전국금속노동조합 한국지엠 지부는 이날 인천 부평공장 내 조립사거리에서 중앙쟁의대책위원회를 출범하고 부분 파업에 돌입했다.
이날 오전 11시부터 오후 3시까지 전반조가 4시간 파업을 실시, 후반조는 오후 7시 40분부터 같은 시간 부분파업에 들어갔다. 한국지엠 노조의 파업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이다.
지난해 14일 간의 파업으로 차량 1만5천 대의 생산 차질을 빚은 것으로 사측은 집계했다.
한국지엠 노조는 올해 임금교섭과 관련해 지난달 6∼7일 노조원 1만1천572명을 대상으로 파업 찬반투표를 진행, 파업을 결의했다. 중앙노동위원회도 노사의 입장차가 커 조정안을 제시하기가 어렵다는 뜻의 ‘조정 중지’ 결정을 내렸다.
노조는 교섭에서 월 기본급 15만4천883원 인상, 통상임금(424만7천221원) 500% 성과급 지급, 2개 조가 8·9시간씩 근무하는 현행 ‘8+9주간 2교대제’를 ‘8+8주간 2교대제’로 전환하는 방안, 공장이 휴업해도 급여를 보장하는 ‘월급제’ 도입 등을 요구했다.
이에 사 측은 임금에 대해서만 협상해야 한다며 기본급 5만 원 인상과 연말까지 성과급 400만 원 지급 등의 협상안을 제시해 견해차를 좁히지 못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