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공영방송은 국민의 방송임을 명심할 때

KBS와 MBC가 결국 총파업에 돌입했다. 일부 프로그램은 물론 뉴스마저 파행이다. 이들 두 방송 노조는 ‘공영방송 정상화’와 ‘언론 적폐 청산’을 요구하며 지역국 종사원까지 가세했다. 정권의 나팔수가 된 사장 퇴진을 요구하고 있다. ‘국민의 방송’과 ‘국민의 좋은 친구’를 표방하는 공영방송 모두 국민들로부터 외면을 받고 있다는 증거다. 양 방송사 종사자들의 입장은 더 그렇다. 이미 제작거부에 들어갔던 MBC 아나운서들은 11명의 아나운서가 심의실이나 심지어 스케이트장 관리직원으로 부당 전보됐고 모두 12명의 아나운서가 회사를 떠났다고 한다.

뉴스를 전하는 사람이 수정할 수 없는 앵커멘트를 읽어야 했고, 심지어 마이크를 빼앗겼다. 아나운서 업무에서 배제된 채 주조정실에 발령을 내기도 했다. 사측의 인사 기준은 그 사람이 가장 능력을 잘 발휘할 수 있는 곳으로 발령내는 것이라고 말하지만 스케이트장, 주조, 심의실 등 아나운서직과 전혀 관계 없는 곳으로 쫓아보냈다. 무리한 조직개편을 단행한 KBS도 MBC와 크게 다르지 않다. 두 방송사의 노동조합이 동시에 총파업하는 것은 2012년 이후 5년 만이다. 당시 친 정부 인사로 분류된 김재철, 김인규 사장의 임명을 둘러싸고 94(KBS)~170(MBC)일씩이나 파업을 벌였다.

이번 파업 역시 불공정 방송과 편파방송이 원인이다. 세월호 침몰사고에서부터 역사교과서 국정화, 한일 위안부 협상 등을 보도하면서 사안을 축소, 왜곡했다는 것이다. 한국기자협회도 KBS와 MBC의 총파업을 지지하는 성명을 냈다. 기자협회는 “그동안 KBS와 MBC의 기자들은 고대영·김장겸 사장을 비롯해 일부 경영진의 부당한 지시에 맞서 언론자유를 위해 끝없이 투쟁해왔다. 그러나 이들에게 돌아온 것은 부당한 인사와 강압적인 보도 통제 그리고 징계와 해직이었다”고 전했다. 이어 “총파업에 나선 공영방송 동료들과 끝까지 함께 할 것”이라고 말했다.

양 사 노조는 ‘언론적폐 청산’을 외치며 김장겸 MBC 사장, 고대영 KBS 사장이 사퇴할 때까지 파업을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결자해지다. 이미 직원들로부터 신뢰를 잃은 고대영·김장겸 사장은 정치권에 줄을 대 자리를 지키려고 발버둥치지 말고 물러나는 게 수습책이다. 그리하여 이번에야말로 두 방송사는 ‘권력으로부터 독립한 참다운 공영방송’을 세워 국민에게 돌려주어야 한다. 그것이 진정한 국민의 방송이자, 국민의 친구로 거듭나는 길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