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국민의 해경’으로 거듭나라

지난 13일은 제64주년 해양경찰의 날이었다. 이날 인천해경 전용부두에서 열린 제64주년 해양경찰의 날 기념식에는 문재인 대통령도 참석해 치사를 했다. 해경의 날 기념식에 대통령이 직접 참석한 것은 이례적인 일이다. 이는 해경에 거는 국민의 기대가 그만큼 크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런데 문대통령의 치사는 일반적인 ‘치사(致辭)’가 아니었다. ‘국민의 명령’이란 표현까지 쓴 질타와 함께 국민의 해경으로 거듭나기 위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명령’했다. 조직의 명운을 걸고 국민의 신뢰를 회복하라고 말했다.

기념식에는 세월호 유가족들도 참석했다. 문 대통령은 “세월호 유가족들이 아픈 마음을 누르고 해경의 앞날을 축하하는 이유도 다시는 그런 참사가 되풀이되지 않으리라는 믿음과 기대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정부와 해경의 ‘무능·무책임’으로 인해 수많은 인명이 배와 함께 바다 속으로 가라 낮았다. 가족과 국민은 이 장면을 속수무책으로 지켜봐야 했다. 그 이후 세월호 유가족과 전 국민의 마음도 함께 깊은 바다 속으로 침몰했다. 아주 오랫동안 분노와 슬픔, 좌절감이 이 나라를 지배했다.

해경은 세월호가 45도 넘게 기울어진 상태라는 것을 보고 받았으면서도 승객 퇴선명령 등의 조치를 취하지 않았다. 적절한 구조 활동도 하지 않고 무기력했다. ‘세월호 7시간 행적’이 밝혀지지 않고 있는 박근혜 전 대통령은 세월호 참사의 책임을 묻는다며 해경을 해체시켰다.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해경을 부활시켰다. 독립 조직으로 바꿔 중국 불법조업, 해양재난 관련 대응을 강화하기로 했다. 그동안 해경은 구조·구난 업무는 사실상 등한시 하고, 수사와 외형적인 성장에 집중해왔다는 비난을 받아왔다.

이에 문 대통령은 “‘이제 우리 바다는 안전한가’라는 국민의 물음에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어야 한다”며 “세월호 구조 과정에서 드러난 문제점을 면밀히 복기하고 검토해 근본적인 원인을 찾고 확실한 대책을 마련하라”고 지시했다. “부활한 대한민국 해양경찰에 국민의 명령을 전한다”면서 국민들이 다시 한번 기회를 준 만큼 “새로 태어나기 위해서는 더욱 뼈를 깎는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구구절절 옳은 이야기다. 특히 관련 국가기관들과 협업·공조 체계를 갖춰 현장 지휘 역량을 빈틈없이 구축, 바다에서 일어나는 재난·재해는 해경이 완벽하게 책임진다는 자세가 필요하다는 지적에 공감한다. 국민이 든든하게 생각하는 해경으로 거듭나길 바란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