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행스런 일이다. 사립유치원들이 집단휴업을 전격 철회했다. 어린이집들이 아이들을 볼모로 집단 휴업을 했던 사태의 충격이 아직도 있는데 유치원의 휴업 결정으로 그동안 학부모들이 애를 태웠다. 그것도 한국유치원총연합회(이하 한유총)가 내부 견해차로 휴업 선언-철회-철회 번복-공식 철회를 거듭하면서 학부모들의 갈피를 잡지 못하게 했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발을 동동 굴렀던 학부모들은 마음을 놓았지만 씁쓸한 뒷 맛이 남는다. 언제 또다시 이같은 일이 일어날지 모르기 때문이다.
교육부도 학부모들의 따가운 시선으로 한유총이 책임감을 느꼈기에 다시는 이런 논란을 일으키지 않으리라고 본다고 했다.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았으면 한다. 어른들의 일로 인해 아무것도 모르는 어린이들이 피해를 입는 일은 없어야 하기 때문이다. 문제가 있다면 대화로 풀어야 하는 것이 상식이다. 특히 사립유치원들이 주장하는 국공립유치원 증설 중단, 재정지원 확대, 설립자 재산권 강화를 위한 재무회계규칙 개정 등은 한 순간에 이뤄질 일이 아니다. 자신들의 요구를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해서 막무가내로 어린 아이들을 볼모로 삼는 행태는 교육자가 할 행동이 아니다.
한유총의 이같은 휴업철회 결정에는 교육부의 강경한 태도가 먹혔다. 박춘란 차관은 지난 16일 기자회견을 열어 “휴업에 참여하는 유치원에 대해서는 재정지원금 환수 및 정원감축, 모집정지, 유치원 폐쇄 등 행정·재정조치를 각 교육청과 함께 추진할 예정이며 학부모들이 납부한 원비에 대한 환불 조치도 이행토록 하겠다”고 말했다. 그럼에도 휴업을 강행하는 사립유치원에 대해서는 운영 전반의 문제점에 대한 강도 높은 우선 감사를 추진할 것임을 분명히 했다. 게다가 싸늘해진 학부모들의 시선도 부담스러웠을 게다.
이제 교육에서만큼은 집단행동이 없었으면 좋겠다. 물론 사립유치원이 집단으로 실력행사에 나설 수밖에 없는 절박한 상황은 이해할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국민들의 지탄을 받는 명분 없는 실력행사는 재고할 일이다. 앞으로 정부와 사립유치원 단체의 대화 과정은 계속될 것이다. 합의점을 찾기 어려워 순탄치 않을 수도 있다. 하지만 유치원교육의 공교육화를 전면 시행하기 위해서는 재정지원 문제를 심사숙고해야 한다. 사립유치원도 유아교육의 중요한 축이기 때문이다. 타협점을 찾으려는 노력을 함께 해야 함은 물론이다. 양 측의 끊임 없는 대화로 불미스런 사태가 일어나지 않도록 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