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 시민단체가 제기했던 수도권매립지 3-1공구 기반시설 부실공사 의혹과 관련, 수도권매립지공사(이하 매립지공사)가 약속했던 공개검증을 취소하자 이들 단체들이 ‘부실의혹’에 대해 감사원에 공익감사를 청구하겠다고 나섰다.
19일 인천평화복지연대(이하 인천연대)와 매립지공사에 따르면 인천연대는 매립지 3-1공구 기반시설 공사에 사용된 부직포의 인장강도 기준과 시공시 부직포간 이음새 봉합에 부실 의혹을 제기했다.
부직포는 매립시설에 들어가는 제품이다.
매립시설 맨 아래 골재를 깔고 그 위에 부직포·고화토·방수시트·부직포를 차례로 깐 뒤 폐기물을 매립하게 돼 있다.
이에 대해 인천연대는 “부직포 구매 입찰 때 적용한 인장강도 기준이 입찰 전 작성한 설계서와 자재구매 시방서의 인장강도 기준보다 낮게 설정된 사실이 드러났고 부직포 납품 후 시공 때 부직포 이음새 봉합에 부실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며 매립지공사에 제3자 검증을 요구했다.
이에 매립지공사는 지난 15일 오전 공개 검증을 하기로 약속했지만 돌연 취소했다.
그러자 지난 18일 인천연대 등 시민단체는 공동성명서에서 “매립장 기반시설 공사는 골재를 깔고 그 위에 부직포-고화처리-차수시트-부직포-골재 등의 순서로 이뤄진다. 이 공사 과정에서 기준치에 미달된 부직포가 사용되거나 부실봉합 시공 되면 기반공사를 한 지반이 뒤틀려 지반침하와 이로 인한 침출수 유출이 커질 수 있다”고 비판했다.
이어 “매립지공사에 제3자 공개검증을 거듭 촉구한다”며 “공개검증을 통해 의혹을 해소하지 않는다면 3-1공구 공사 관련 공익감사와 국정감사 등을 요청하겠다”고 주장했다.
이에 매립지공사 관계자는 “부직포 열융착 접합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이며 제3매립장 부직포는 단순히 겹침 시공만으로도 그 역할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어 아무런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한 “부직포 부실로 지반침하가 발생되고 침출수가 유출될 수 있다는 주장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고 해명했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