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6 (토)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사설]진실은 밝혀야 겠지만 과거에만 집착해서야

최근 정치권을 보노라면 여야의 싸움이 너무 치열하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이 독설을 퍼부으며 일촉즉발의 위기가 고조되는 긴박한 상황이다. 미국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문재인 대통령과 야당 대표들과의 회담에도 일부는 불참을 선언하는 등 정국이 평행선을 달린다. 아니, 여야가 제대로 협조를 해도 어려운 판국에 사사건건 시비다. 특히 정진석 자유한국당 의원이 최근 SNS에 올린 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부부 싸움 끝에 자살했다’는 내용을 놓고 여야 간 첨예한 대립이 계속되고 있다.

정 의원은 이에 대한 해명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을 사랑하는 분들께 묻고 싶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정치보복으로 노무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았다고 믿으십니까”라며 MB는 노 전 대통령 서거와 무관하다는 기존 주장을 거듭했다. 정 의원은 그러면서 “노무현 대통령의 한을 풀기 위해서 또 다른 형태의 정치보복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면서 문재인 정부의 적폐청산 칼끝이 MB와 MB정부를 향하자 방어 차원에서 나섰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최근 이명박(MB)정부를 향한 검찰의 칼끝이 예리해지고 있는데 대한 방어수단으로도 볼 수 있다. 더욱이 최근 국가정보원의 ‘댓글공작’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 등이 검찰의 수사 선상에 올랐기 때문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정 방해활동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 11명을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하자 이 사건을 공안2부에 배당했다. 자칫 국정원 적폐 청산 과정과 맞물려 시작된 수사가 전직 대통령으로 향하는 모양새다. 국회에서도 이명박 전 대통령과 현 정부 인사들의 증인채택 여부로 여야가 한바탕 싸움을 벌이고 있다. 그러자 자유한국당이 ‘노무현 재수사’ 카드를 다시 꺼내 들었다. 문재인 정부 ‘적폐청산’의 초점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넘어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까지 맞춰지자 맞불을 놓고 있는 것이다. 강효상 대변인은 “여권은 정치보복에만 혈안이 될 것이 아니라 노 전 대통령 뇌물사건에 대한 재수사에 즉각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반도의 위기상황에도 여야의 행동은 점입가경이다. 물론 적폐를 청산하고 잘못을 바로잡는다는 것에는 의견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너무 과거지향적으로만 살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볼 일이다. 여야가 힘을 합쳐도 난국을 헤쳐나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런데도‘정치보복’의 논란을 무릅쓰고 과거사건들을 갑자기 서로 끄집어내는 것은 재고할 일이다.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