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정치권을 보노라면 여야의 싸움이 너무 치열하다.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북한의 김정은이 독설을 퍼부으며 일촉즉발의 위기가 고조되는 긴박한 상황이다. 미국 방문을 마치고 돌아온 문재인 대통령과 야당 대표들과의 회담에도 일부는 불참을 선언하는 등 정국이 평행선을 달린다. 아니, 여야가 제대로 협조를 해도 어려운 판국에 사사건건 시비다. 특히 정진석 자유한국당 의원이 최근 SNS에 올린 글 ‘노무현 전 대통령이 부부 싸움 끝에 자살했다’는 내용을 놓고 여야 간 첨예한 대립이 계속되고 있다.
정 의원은 이에 대한 해명을 통해 “노무현 대통령을 사랑하는 분들께 묻고 싶습니다. 이명박 대통령이 정치보복으로 노무현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았다고 믿으십니까”라며 MB는 노 전 대통령 서거와 무관하다는 기존 주장을 거듭했다. 정 의원은 그러면서 “노무현 대통령의 한을 풀기 위해서 또 다른 형태의 정치보복에 나서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면서 문재인 정부의 적폐청산 칼끝이 MB와 MB정부를 향하자 방어 차원에서 나섰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최근 이명박(MB)정부를 향한 검찰의 칼끝이 예리해지고 있는데 대한 방어수단으로도 볼 수 있다. 더욱이 최근 국가정보원의 ‘댓글공작’ ‘문화계 블랙리스트 사건’ 등이 검찰의 수사 선상에 올랐기 때문이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시정 방해활동으로 이명박 전 대통령과 원세훈 전 국정원장 등 11명을 서울중앙지검에 고소하자 이 사건을 공안2부에 배당했다. 자칫 국정원 적폐 청산 과정과 맞물려 시작된 수사가 전직 대통령으로 향하는 모양새다. 국회에서도 이명박 전 대통령과 현 정부 인사들의 증인채택 여부로 여야가 한바탕 싸움을 벌이고 있다. 그러자 자유한국당이 ‘노무현 재수사’ 카드를 다시 꺼내 들었다. 문재인 정부 ‘적폐청산’의 초점이 박근혜 전 대통령을 넘어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까지 맞춰지자 맞불을 놓고 있는 것이다. 강효상 대변인은 “여권은 정치보복에만 혈안이 될 것이 아니라 노 전 대통령 뇌물사건에 대한 재수사에 즉각 나서야 할 것”이라고 촉구했다.
한반도의 위기상황에도 여야의 행동은 점입가경이다. 물론 적폐를 청산하고 잘못을 바로잡는다는 것에는 의견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우리는 너무 과거지향적으로만 살고 있지는 않은지 생각해볼 일이다. 여야가 힘을 합쳐도 난국을 헤쳐나가기 어려운 상황이다. 그런데도‘정치보복’의 논란을 무릅쓰고 과거사건들을 갑자기 서로 끄집어내는 것은 재고할 일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