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어린이집연합회 기자회견
인천지역 어린이집 연합체가 정상적인 보육환경 조성을 위해 보육료 인상을 촉구하고 나섰다.
인천어린이집연합회는(이하 연합회)는 15일 인천시청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어린이집 보육료가 내년도 최저임금 인상률인 16.4%에도 못 미치고 있다”며 영유아보육료 및 누리과정 예산의 개선을 촉구했다.
이들은 “단돈 1천745원으로 아이들의 한 끼 식사와 두 번의 간식을 해결할 수밖에 없는 현실임에도 매년 보육료가 삭감 또는 동결 수준으로 책정돼 있다“며 ”정상적인 보육과 교육이 이뤄질 수 없기에 현실성 있는 보육예산을 확보해 아이들이 행복한 보육환경을 조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 2012년부터 유치원·어린이집 구분 없이 모든 계층의 유아에게 공정한 교육 기회를 보장하고자 유아 학비와 보육료를 지원하고 있다.
이에 따라 올해 어린이집(종일반)에 유아를 보내는 학부모는 0세 43만 원, 1세 37만8천 원, 2세 31만3천 원, 3~5세 22만 원의 부모보육료가 지원되며 어린이집 또한 원아 1명당 적게는 12만5천 원~ 39만1천 원의 기본보육료를 지원받고 있다.
지방자치단체는 어린이집 유형 및 지역적 여건을 고려해 부모부담 보육료를 책정하고 있다.
인천시의 경우 3세는 7만4천 원, 4~5세는 6만 원이다.
하지만 연합회는 이처럼 정부나 지자체에서 저출산 문제를 해결하고자 학부모의 보육·교육비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보육료 등을 지원하고 있지만 어린이집 교직원 인건비와 급간식비 비중이 약 70% 이상 지출되고 있어 보육료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
연합회는 “정부는 말로만 저출산 극복을 위해 책임보육 강화를 부르짖지만 이는 보육료현실화 없이 될 수 없음을 자각하고 보육현장의 목소리에 귀 기울여 제대로 된 보육정책과 예산을 집행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아주 극소수 어린이집에서 아동학대 문제가 사회문제로 대두되면서 모든 어린이집이 매도당해 의욕이 저하돼 있는 현실”이라며 “인천 어린이집에서도 더욱 철저한 관리로 교사들의 교육을 시행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