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도 LNG 누출사고 늑장 공개 논란
최근 인천 송도 LNG기지가 액화천연가스(LNG) 누출 사고를 주민들에게 늑장 공개해 논란을 불러일으킨 사례가 발생하자 ‘상시적인 주민감시단’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오고 있다.
인천평화복지연대는 20일 “가스 누출과 탱크 기둥 균열 등 정확히 알려진 인천 LNG기지 사고만 세 차례다”며 “인근 주민들은 매번 언론을 통해서 뒤늦게 사고 내용을 접하는 실정”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이번 사고 이후에도 지방자치단체들이 뒤늦게 대응책 마련에 나섰지만 시민들은 여전히 배제됐다”며 “가스공사, 인천시, 주민으로 민관 안전 감시단을 꾸려 그 활동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들은 근본적인 안전대책 마련을 위해 시에 감시단 구성과 관련한 조례 제정도 촉구할 방침이라고 밝혔다.
특히 지난 2005년 인천 LNG기지 가스 누출 사고 이후 인천시, 인천시의회, 연수구, 시민단체 관계자 등 13명 안팎으로 안전협의체가 활동을 하지만 내용이 제대로 공개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한국가스공사 측에 분기별로 열리는 협의체 회의 기록을 공개하라고 요구했지만 공개가 어렵다는 답변을 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지난 5일 오전 7시 30분쯤 가스공사 인천기지 하역장에서 영하 162도의 LNG가 용량 10만㎘인 1호기 저장탱크 밖으로 흘러넘쳤다.
자체 소방대를 보유한 기지측은 가스누출 사실을 알리지 않은 채 119 신고를 받고 출동한 소방차를 돌려보냈다.
기지 측은 가스안전공사와 산업통상자원부에는 당일 보고를 했지만 시와 구에는 하루 뒤인 지난 6일 오전에야 보고했다.
또 이 사실이 일반에 공개된 것은 사고 발생 일주일이 넘은 지난 13일이어서 늑장공개 논란이 더 커졌다.
/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