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8.15 (금)

  • 흐림동두천 29.3℃
  • 흐림강릉 30.6℃
  • 흐림서울 32.3℃
  • 구름많음대전 30.7℃
  • 구름조금대구 32.7℃
  • 구름많음울산 30.7℃
  • 구름조금광주 31.8℃
  • 맑음부산 32.0℃
  • 구름조금고창 32.7℃
  • 구름조금제주 31.6℃
  • 흐림강화 30.0℃
  • 흐림보은 29.2℃
  • 구름많음금산 31.4℃
  • 구름조금강진군 31.5℃
  • 맑음경주시 32.0℃
  • 맑음거제 31.0℃
기상청 제공

[끝나지 않은 정조의 건축]정약용(下)

 

수원성의 기본설계는 1792년 겨울 정약용이 정조의 비밀지시를 받고 진행한다. 그래서인지 ‘화성성역의궤’ 어디에도 그의 이름은 보이지 않는다.

일 년 뒤인 1793년 12월 정조는 체재공, 조심태와 축성(築城) 회의를 공식적으로 한다. 회의의 참석자들은 일반적인 성곽형태에 대한 의견을 내지만 정조는 새로운 최첨단 성곽을 원한다. 정조는 이미 정약용의 기본설계를 본 이후라 수원성에 대한 이미지가 있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정조는 회의에서 기본설계가 진행되었다는 것을 말하지 않았고 또 죽을 때까지 언급하지 않는다.

정약용의 기본설계안은 화성성역의궤의 ‘어제성화주략’(御製城華籌略)으로 실려 정조가 만든 것으로 되어있다. 이런 사실이 국가공식기록 어디에도 나오지 않지만 다산시문집에 같은 내용이 있어 설계의 원작자가 정약용이라는 것을 알게 된 것이다.

정조가 아낀 정약용이 만든 설계를 굳이 절대자인 임금이 자기 것이라고 할 필요가 없다고 본다. 혹시 남인 출신의 천재를 노론으로부터 보호하고자 그가 장성하기까지 숨기고자 하는 의도는 없었을까?

정약용의 기본설계는 실제로 수원성에 전부 적용되지 않고 많은 설계변경이 이루어져 완성된다. 당시 성곽설계를 전문으로 하는 사람이 없었고 정약용도 처음 하는 일이므로 현실에 맞지 않는 부분이 많았을 것이다. 지금도 완벽한 설계는 없듯이 수원성의 설계변경은 당연히 일어났을 것이다.

정약용의 기본설계와 실제 공사에서 변경된 부분을 살펴보자.

첫째, 성곽 길이를 3천600보로 계획했지만 4천600보로 늘어난다. 정조가 1794년 정월 수원에 원행을 할 때 북쪽으로 성곽선을 밀어 길이가 늘어나지만 1천000보나 늘어난 것은 이상하다. 정약용이 현장의 길이를 측정할 때 비공식적으로 진행하다 보니 오차가 있었을 가능성이 크다고 볼 수 있겠다.

둘째, 성곽 높이는 2장5척을 계획하지만 2장으로 건설되었다. 당시 주력무기인 포(砲)의 발달로 성곽높이가 점차 낮아지고 있었다. 조심태는 이를 반영하여 산지를 더 낮추어 만들게 되었다.

셋째, 성곽 재료로 벽돌 사용을 반대하고 돌의 사용을 주장 하지만 실제로는 벽돌이 많이 사용되었다. 석재는 화공(火攻)에 약하기에 벽돌보다 안 좋은 재료로 인식되었기 때문으로 보인다.

넷째, 호참(壕塹, 해자垓子)을 만들기를 주장했지만 결국 만들어지지 못했다. 의궤에서는 중국성과 달리 평지성이 아닌 산을 끼고 있어 굳이 해자의 필요성이 없다는 내용이 있다.

또 포루(砲樓)는 7개에서 5개로 줄었고 적루(敵樓)는 4개에서 하나도 만들지 않았다. 적대(敵臺)는 9에서 4개로 줄고 포루(鋪樓)는 2개에서 5개로 늘어났다. 노대(弩臺)는 1개에서 2개로 늘고 7개로 계획된 각성(角城)은 보이지 않는다. 이처럼 건축시설물 대부분도 초기설계와 달리 위치와 개수가 변경되었고 세워지지 않은 시설도 있었다.

위 내용으로 보면 기본설계가 대부분 변경되었다고 볼 수 있다. 초기설계안이 개인적으로 만들어졌기에 한계가 있는 사실일 것이다. 이후 설계는 전국의 성지(城地)와 중국의 성제(城制) 및 왜성(矮星)의 구조까지 조사·분석하여 설계에 반영하게 된다.

정약용은 초기설계 당시 31살로 경륜이 적었다. 공사의 책임자는 못되더라도 보조하면서 관여할 수 있는데 그러지 못해 아쉬움이 남는다. 지금도 설계자의 공사참여가 배제되고 있는 데 그때 상황도 별 다르지 않았던 것 같다. 역사에 만약은 없지만 무인(武人) 출신의 조심태와 문인(文人)인 정약용이 협력하여 진행하였다면 지금과 다른 모양이 되었을지도 모른다.

현재는 정약용의 기본설계가 남아있지 않고 많이 변경되어 기본설계의 원형이 어떤 모습인지 알 수 없지만 언젠가 그의 설계도가 발견되었다는 소식을 기대해 본다.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