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24 (목)

  • 흐림동두천 23.0℃
  • 흐림강릉 20.8℃
  • 서울 27.9℃
  • 구름많음대전 28.0℃
  • 흐림대구 27.6℃
  • 구름많음울산 25.5℃
  • 구름조금광주 28.6℃
  • 구름조금부산 28.2℃
  • 구름조금고창 28.4℃
  • 구름많음제주 29.8℃
  • 흐림강화 26.6℃
  • 구름많음보은 23.2℃
  • 구름많음금산 27.2℃
  • 구름많음강진군 29.6℃
  • 구름많음경주시 26.8℃
  • 맑음거제 28.6℃
기상청 제공

도시농업 관심 많아도 육성 시책은 초보수준

인구대비 도시농업 참여 비교
인천 1.45%… 서울 5.46%
市엔 전담부서 하나도 없어
“타지역보다 종합정책 미흡”

인천시가 녹색환경도시로 변모하기 위해선 ‘도시농업‘의 참여율을 높이는 등 적극적인 육성정책을 펼쳐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10일 시에 따르면 도심 내 토지나 건축물의 공간을 활용해 농작물을 재배하는 도시농업은 안전한 농작물 생산, 에너지 절감, 고용 창출 등 다양한 산업·경제·환경적 효과가 있다.

이 때문에 정부와 각 지방자치단체는 도시농업을 적극적으로 육성하고 있지만 시는 초기 단계에서 좀처럼 나아가지 못하는 실정이다.

지난 2016년 인천지역 도시농업 참여자는 4만2천819명으로 인구 대비 1.45%에 불과했다.

반면 같은 수도권인 서울시는 인구대비 5.46%, 경기도는 3.41%를 기록해 인천에 비해 2.4~3.8배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김충기 인천도시농업네트워크 대표는 “인천에는 도시농업에 관심을 가진 시민이 타 지역 못지않게 많지만 지원이 기초자치단체 단위에 머물러 있는 데다 시에 전담부서도 없어 참여율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했다.

인천발전연구원도 ‘인천 도시농업 육성을 위한 추진과제 연구’를 통해 “인천 도시농업은 타 지역보다 미흡하며 이를 해결하려면 텃밭 가능 지역 탐색, 시민 참여의향도 조사, 재정지원 확대 등 종합적인 정책이 절실하다”고 조언한 바 있다.

실제 지난 2016년 인천 도시농업 텃밭 규모는 22만1천513㎡로, 전국 17개 시·도 중 12위, 6개 광역시 중에서는 울산시를 제외하고 가장 하위를 기록했다.

일찌감치 시 차원의 전담팀을 꾸려 도시농업을 육성한 부산시(텃밭 138만2천339㎡·전국 3위)나 대구시(64만2천789㎡·전국 4위)와는 대조적이다.

이 때문에 전문가들은 시가 의지를 갖고 지역현실에 맞는 도시농업 정책을 추진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김진덕 전국도시농업시민협의회 대표는 “서울시는 전담부서를 신설, 도심 내 텃밭을 발굴하고 주말농장을 가꾸는 노력을 기울여 농업 관련 일자리 창출 등 효과를 거뒀다”며 “인천도 도시농업에 대한 가능성이 많은 지역인만큼 시가 의지를 갖추고 추진한다면 큰 효과를 볼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시 관계자는 “인천 도시농업에 대한 부족한 점을 인지하고 있다”며 “앞으로 전담부서 신설을 검토하는 한편 실태조사·정책수립 등 지원방안에 대해 논의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이정규기자 ljk@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