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지역의 도시화 과정에서 불투수면이 증가하면서 도시홍수 및 가뭄 발생, 열대야 일수 증가 등 물 재해에 대한 취약성이 대두되고 있다.
18일 인천발전연구원의 ‘인천 물순환 도시 환경경쟁력 진단 및 향상 방안’ 보고서에 따르면 실제 인천지역은 불투수면적률이 도시지역인 8개구를 대상으로 할 경우 35.2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7개 특·광역시 중 서울시의 57.22%에 이어 2번째로 높은 수치를 기록했다.
최근 도시화 과정에서 발생하는 불투수면 증가로 물순환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이 커지면서 건강한 물순환 도시에 대한 관심이 늘고 있다.
환경부와 국토교통부 등 중앙정부에서는 각종 저영향개발기법의 적용방안을 모색하고 물순환 선도도시 지원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이날 인발연은 적용가능한 물순환 도시조성정책 28개를 장·단기로 구분해 제시했다.
먼저 단기정책은 행정역량 강화, 제도 수립, 기존정책 연계, 정책공감대 형성 등 물순환 도시 조성을 위한 기초적인 틀을 구축하는 것들로 제안했다.
장기 정책은 요소기술 적용, 연구·개발, 교육·홍보, 정책지원 등을 제안했으며 실제적인 집행단계에서 고려할 사항도 마련했다.
인발연 김성우 본부장은 “시는 빗물관리에 관한 조례 및 물재이용 관리계획 수립 등 물순환 도시 추진과 관련된 정책들을 이미 시행하고 있으나 이는 포괄적인 물순환 도시조성과 관련해서는 다소 미흡하기 때문에 더욱 적극적인 물순환 도시 조성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