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한국GM 철수설’이 불거진 이후 부평공장 생산량이 급감한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한국은행 인천본부의 ‘인천지역 실물경제동향’ 보고서에 따르면 한국GM 부평공장의 완성차 생산량은 지난해 1분기 8만6천 대에서 2분기 9만5천대로 늘었다가 3분기 7만9천 대, 4분기 7만7천대로 줄었다.
지난해 4분기 생산량은 전년동기대비 23.5% 감소한 것이다.
한은 인천본부는 부평공장의 생산량 감소는 한국GM 철수설이 불거진 지난해 2분기 이후 내수판매 부진과 수출 감소까지 겹쳐 나타난 것으로 분석했다.
내수판매의 경우 2016년에는 부평공장에서 생산하는 중형세단 말리부의 신차 출시 효과로 큰 폭으로 증가했지만, 지난해 2분기 이후 이 효과가 소멸한 데다 철수설까지 겹치면서 곤두박질했다는 것이다.
말리부는 트랙스와 함께 부평공장의 주력 생산 차종이다.
이 때문에 지난해 3분기와 4분기 내수판매는 각각 전년동기대비 21.5%, 45.9% 줄었다.
부평공장 수출은 글로벌 GM의 구조조정 여파로 지난해 1분기 7만3천 대, 2분기 7만7천 대에서 3분기 6만9천 대, 4분기 7만대로 감소했다.
한은 인천본부는 부평공장 수출·내수판매·생산의 주요한 부진 원인으로 GM 본사의 글로벌 구조조정이 직접적인 영향를 끼쳤다고 보고 있다.
2013년 말 쉐보레 브랜드가 유럽에서 철수함에 따라 한국GM의 수출 부진이 지속하고 있다는 분석이다.
마지막으로 한은 인천본부는 한국GM 부평공장과 협력업체 등 인천 자동차산업의 향방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재협상과 GM 본사의 글로벌 구조조정 결과에 좌우될 것으로 예상했다.
올해 1월 시작된 한미FTA 개정 협상에서 미국 측은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을 핵심 이슈로 제기하고 있으며 자동차 관세가 부활하면 대미 수출 비중이 큰 한국GM도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이정규기자 lj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