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직자와 정치인들의 재산공개 결과를 바라보는 서민들의 시각은 씁쓸하다. 물가가 올라 장보기가 두렵고 생활고에 시달리는 대부분의 국민들은 공직자들의 재산증가가 달갑지 않다. 경기도공직자윤리위원회에 의하면 최근 공개한 9명의 공직유관단체기관장과 423명 시·군의원 중 64%(277명)의 재산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8천88만원이나 증가했다고 한다. 결혼으로 인해 남편 재산을 등록하다 보니 54억 이상 재산이 증가한 기초의회 의원도 있다.
이번 공개된 공직자들의 평균 재산은 9억9천256만원이었다. 재산이 가장 많은 공직자는 경기도 모 산하 단체장으로 129억원이나 됐으며 99억9천900만원, 96억6천500만원을 신고한 기초의원도 있었다. 문재인 대통령은 지난해보다 3억 원 가량 늘어 18억2천여 만 원을 신고했다. 청와대 참모진의 평균 재산도 19억7천여 만 원이나 된다. 장하성 정책실장은 93억1천여 만 원을 신고해 청와대에서 가장 재산이 많았으며 수석비서관 급에서는 조국 민정수석이 49억8천여 만 원이다. 그 외 고위공직자로는 윤석열 서울중앙지검장이 64억7천여 만 원, 서훈 국정원장은 36억5천여 만 원의 재산 내역을 신고했다.
자본주의 국가에서 돈이 많음을 탓할 일은 아니다. 정당한 노력의 대가라면 오히려 칭찬받을 일이다. 물려받은 유산도 있을 법하다. 그러나 일부 고위 공직자의 재산증가 이유가 부동산이나 주식으로 인한 경우로 땀의 대가라고 보기 어렵다는 점이다. 고위 공직자의 재산증식 이유는 주로 부동산 신고가액이 크게 높아진 때문이다. 수 십억 원대의 부동산을 보유하고 있는 공직자도 적지 않다. 자고 나면 오르는 집값 때문에 잠못 이루는 서민들 입장에서 화가 날 만도 하다.
가계부채는 1천조 원을 넘어설 정도로 갈수록 늘어나고 서민들 삶은 피폐해지고 있다. 집값은 뛰어 내 집 마련하기가 하늘의 별따기다. 반면 고위 공직자나 단체장들의 평균 재산증가가 8천만 원이 넘는다면 월급을 거의 쓰지도 않았다는 얘기나 다름 없다. 공직자 재산증가가 부정한 방법에 의한 것은 아닐지라도 서민 입장에선 상대적 박탈감을 느낄 수 있다. 공직자윤리위원회는 6월 초까지 이번 공개한 재산을 심사한 뒤 거짓 또는 불성실 신고 사례가 드러나면 과태료 부과 등의 시정조치를 취할 예정이다. 그러나 공직자 재산신고가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하고 서민들과의 위화감만 조성된다면 차라리 폐지를 검토하는 것도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