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리시가 시급하게 추진중인 조직개편(안)이 6.13 지방선거라는 변수로 인해 늦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1일 시와 구리시의회 등에 따르면 시는 현행 3국, 3담당관, 19과 체제에서 4국, 1단, 2담당관, 24과 체제로 변경하고 경제교통국과 한시 기구인 테크노벨리추진단을 신설하는 내용의 ‘구리시 행정기구 및 정원 조례 일부개정조례안’을 시의회에 제출했다.
해당 조례안은 또 일부 부서의 명칭 변경과 이동 등을 담고 있으며 직원 정원도 현재 671명에서 722명으로 51명 늘어나는 내용이 포함돼 있다.
이번 조례안은 시가 구리·남양주테크노밸리의 조속한 추진, 인구 20만 명을 넘어 선 도시에 걸맞는 행정 등으로 인해 조직개편과 인력 증원이 시급하다고 판단, 마련했다.
시는 이후 지난 2월 13일부터 3월 5일까지 입법예고를 거쳐 지난 달 15일 시의회에 안건을 제출했으며 오는 9일 통과 여부가 결정될 전망이다.
하지만 시의회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는 더불어민주당 측의 시의원들이 오는 지방선거 이후로 해당 조례안 통과를 미루려는 움직임이 감지되면서 시가 애를 태우고 있는 것.
이에 시의회 박석윤 운영위원장(민주)은 “아직 결정된 것은 없다”면서도 “소속 시의원들과 계속 심도있는 협의를 진행하고 있다”고 밝혔다.
반면 한국당 소속 시의원들은 “시의 현안사항을 선거와 결부시키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며 “시의 원활한 행정과 업무추진을 위해 집행부에서 상정한 조직개편안을 가결해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시 관계자는 “시 승격 32년만에 인구 20만이 넘어서고 테크노밸리 사업 추진을 위한 한시기구 등의 신설에 필요한 행정적 절차 및 법적 요건이 충족된 상태다”며 “지방선거와 연관없이 행정조직 개편을 통한 시민의 복지, 안전, 대민 행정서비스 제공을 위해 추진하는 것이며 시급한 현안사항이다”고 설명했다.
한편 인근의 고양시와 시흥시, 하남시 등은 집행부의 조직개편을 완료한 상태며 경기도내 16개 시·군이 조직개편을 추진하고 있거나 마친것으로 알려져 있다./구리=이화우기자 lh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