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과 한나라당이 노무현 대통령의 탄핵안 철회를 위해 물밑접촉을 진행 중이어서 한나라당의 탄핵안 철회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열린우리당 박영선 대변인은 18일 "한나라당과 여러채널로 탄핵안 철회를 위한 물밑대화를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박 대변인은 "한나라당이 탄핵안을 철회치 않고 헌법재판소에서 기각됐을 경우 그 책임을 어떻게 지겠느냐"며 "한나라당은 지금이라도 즉시 탄핵안을 철회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한나라당은 탄핵문제를 정치논리로 다뤄선 안된다며 열린우리당에 헌법재판소 결정을 수용할 것을 촉구했다.
배용수 수석부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총선결과와 대통령 재신임을 연관시키는 것은 지나친 논리의 비약이고, 대통령의 탄핵사유도 선거법 위반 등 범법 혐의"라며 "총선을 통해 국민이 대통령을 재신임했다는 주장은 어불성설"이라고 폄하했다.
배 부대변인은 또 "열린우리당은 헌재로 넘어간 법적인 문제를 정치논리와 선동으로 왜곡치 말고 헌재 결정을 지켜본 뒤 승복해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앞서 탄핵 철회를 주장해온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은 17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에게 "일단 조건없이 만나자"며 대화할 것을 거듭 제의했다.
정 의장은 특히 "탄핵안 철회를 논의하자는 입장에서 벗어나 의제에 국한치 말고 일단 만나 모든 문제를 허심탄회하게 얘기해보자"고 제안했다.
정 의장은 또 "박근혜 대표가 당사로 찾아오겠다고 한 것을 환영한다"며 "우리당사(열린우리당)로 오기가 어려우면 자신이 직접 갈 생각이 있다"고 강조했다.
열린우리당은 한나라당과의 대표 회담을 위해 사전접촉을 적극 추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고 있는 가운데 한 관계자는 "총선 결과 국민은 타협과 대화, 상생의 정치를 기대하고 있다"며 "금명간 한나라당측과 만나 구체적인 의사를 타진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일단 헌재의 결정을 지켜보자는 기존 입장을 고수했다. 박 대표는 "그러나 민생현안을 놓고 협조하고 의논할 일이 있다면 열린우리당을 찾아갈 수도 있다"고 말해 회담에 응할 수도 있음을 내비쳤다.
당내 일각에서도 노 대통령의 사과를 전제로 탄핵안을 철회하는 방안도 조심스럽게 제기되고 있다. 윤여준 선대위 부본부장은 "대통령이 국민에게 사과하면 야당도 물러설 명분이 생긴다"고 말했다.
여야 모두 총선 과정에서 싸우지 않는 상생의 정치를 강조해온 만큼 얼마 동안의 탐색기는 거치겠지만 금명간 대표 회담 등을 통해 정치적 타협에 나설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