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격기와 전투기 등의 포탄투하와 기총사격으로 주민들의 집단 반발을 사왔던 화성군 우정면 매향리 미공군 쿠니사격장이 54년만에 완전히 폐쇄된다.
국방부 고위관계자는 18일 공중 사격에 따른 주민들의 소음과 진동 피해가 극심한 매향리 사격장을 폐쇄하기로 미군측과 지난해 말 합의한 뒤 후속조치를 준비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도널드 럼즈펠드 미국방장관이 한미연례안보협의회(SCM) 참석차 방한한 지난해 11월 당시 양측이 `매향리사격장 관리임무 전환 및 폐쇄'에 관한 이행계획서를 체결했다고 설명했다.
이행계획서에 따르면 한국 국방부는 농섬과 매향리 육상 및 인근 해상 728만평에 조성된 쿠니사격장 관할권을 2005년 8월까지 주한 미공군으로부터 넘겨받아 완전히 폐쇄키로 했다.
국방부는 쿠니사격장을 대신해 농섬과 매향리 해안 사이에 인공섬을 조성할 계획이었으나 거액의 예산이 소요되고 어민피해가 예상돼 이를 취소하고 미군이 기존의 한국 공군 사격장을 사용토록 하는 방안을 검토중이다.
미군측은 주한미군 재배치 계획에 따라 10개 특정임무를 한국측에 인계키로 합의하면서 그동안 매향리 주민들의 거센 반발에도 불구하고 양보의사를 보이지 않았던 기존 입장에서 전격 후퇴해 사격장을 한국군에 넘겨주기로 했다.
이로써 6.25전쟁중이던 1951년부터 사격훈련이 실시되다 1954년 한미주둔군지위협정(SOFA)에 따라 공식 조성된 쿠니사격장에서 54년 동안 끊이지 않던 포성이 완전히 멎게 됐다.
정부는 19일 SOFA 합동위원회 산하 민사청구권 분과위원회 회의를 열고 매향리 피해 보상금을 미군측에 분담시키는 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나 시설과 구역에 대한 원상회복 의무를 미군이 지지 않는다고 규정한 SOFA 4조 1항 때문에 합의점을 도출하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