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7.14 (월)

  • 구름많음동두천 27.7℃
  • 흐림강릉 29.4℃
  • 구름조금서울 29.1℃
  • 구름조금대전 30.2℃
  • 맑음대구 32.3℃
  • 연무울산 29.4℃
  • 맑음광주 31.6℃
  • 구름조금부산 26.6℃
  • 구름조금고창 32.1℃
  • 맑음제주 29.6℃
  • 흐림강화 26.9℃
  • 구름많음보은 28.2℃
  • 구름조금금산 30.3℃
  • 구름많음강진군 30.8℃
  • 구름조금경주시 32.9℃
  • 구름조금거제 28.1℃
기상청 제공

한강 하구 포식자 ‘끈벌레’ 발생 원인 7월 밝혀진다

고양시, 연구용역 결과 발표
어민 실질적 도움 방안 모색

한강 하구 행주 어민들에게 피해를 주는 끈벌레의 발생 원인 등을 규명한 연구용역 결과가 오는 7월 발표된다.

고양시는 2016년 8월 ‘한강 수질과 끈벌레류 발생 원인 규명, 실뱀장어 폐사 원인 등 어업피해영향조사’ 용역기관으로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을 선정했다고 3일 밝혔다.

인하대 산학협력단은 한강 서울시 하수처리장∼행주대교 남단, 가양대교∼신곡 수중보 구간에서 끈벌레류를 조사하고 서울특별시 시계∼김포시 시계∼파주시 시계에서 수질 오염 등을 조사하고 있다.

세부 내용으로 ▲끈벌레 서식지, 이동 경로, 증가원인 등 생태 규명 ▲독성조사 ▲어획량, 폐사율 등 실뱀장어 조업실태 및 피해조사 ▲실뱀장어 폐사 규명 및 폐사로 인한 어민피해 대책 ▲한강 서울시 오염원으로 인한 한강 수질 오염 영향조사 ▲한강 수질 오염이 어업활동에 미치는 영향조사 ▲어민 피해규모 등이다.

인하대 한경남 교수 외 30여 명의 연구진이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까지 연구용역은 87%의 공정을 보이고 있다.

다음 달 2차 자문위원회를 거쳐 오는 7월 최종 결과를 발표할 계획이다.

10년 전 처음 한강 하류에서 발견된 끈벌레는 급격히 개체 수가 늘고 있지만, 정확한 발생 원인을 파악하지 못해 별다른 해결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바다에 주로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진 끈벌레는 몸길이 20∼30㎝로 머리 부분은 원통형에 가깝지만 꼬리 부분으로 가면서 납작해져 이동성이 좋고 주로 모래나 펄 속, 해조류 사이, 바위 밑에 서식한다.

신경계 독소를 뿜어내 마비시키는 방법으로 환형동물, 갑각류, 연체동물, 어류를 닥치는 대로 잡아먹는 등 포식성이 강한 것으로 알려졌다.

시는 연구용역을 토대로 어민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방안을 찾을 예정이다. /고양=고중오기자 gjo@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