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시 관내 몸살을 앓아 온 폐비닐 미수거 사태가 2차 폐비닐 회수 선별업체와의 협의를 통해 정상화하면서 고비를 넘겼지만 이번에는 폐지값의 급락으로 인한 폐지 수거 차질 조짐이 곳곳에서 보여 ‘재활용품 수거 대란’ 우려가 여전하다.
8일 시 등에 따르면 지난 3월부터 관내 아파트와 다세대 주택 단지를 중심으로 폐지 수거가 이뤄지지 않고 방치되는 사례가 관찰되기 시작했다.
시는 이 같은 현상이 폐지 가격 하락때문인 것으로 보고 있다.
실제 관내 폐지 수거 관련 업체를 통해 조사한 결과, 폐지를 통한 수익이 지난 3월 중순 이후부터 3분의 1 이하로 감소한 것으로 파악됐다.
한국환경공단에 따르면 수도권의 폐골판지 값은 지난해 12월 144원에서 지난달 90원으로 40%나 떨어졌다.
이는 중국이 올해 1월 종이 등 재활용 가능한 폐기물의 수입을 전면 금지하면서 나타난 현상으로, 대중국 폐지 수출량은 1∼2월 기준 지난해 5만1천832t에서 올해 3만803t으로 40.6%나 감소했다.
시 관계자는 “폐지가 재활용 업체의 수익에 압도적인 부분을 차지해 아직 수거가 안 되는 불상사는 일어나지 않았지만 가격이 계속 내려가면 문제가 생길 것으로 보여 상황을 주시하며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 폐지 수거업체 관계자는 “폐지 가격이 최근 급격히 내려가 걱정이 크다”며 “폐기물 수거 업체들도 먹고 살 수 있도록 정부 차원에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폐비닐 수거 역시 아직도 ‘비닐을 수거해 가라’는 아파트 관리소 측과 ‘이런 상태의 비닐은 2차 회수업체에서 받아주지 않아 못 가져간다’는 1차 수거 업체 사이의 실랑이가 심심치 않게 벌어지고 있다.
관내 한 회수업체 관계자는 “이번 사태로 가장 고생을 많이 하는 사람들이 아파트에서 처음 재활용품을 수거하는 1차 회수 업자들”이라며 “아파트와 2차 회수업체 사이에서 고생이 이만저만이 아니다”라고 토로했다.
/고양=고중오기자 gj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