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는 김 위원장과 피를 나눈 혈육이자 국정운영과 관련된 모든 것을 공유할 수 있는 최측근으로 평가된다. 김 제1부부장은 지난 2월 초 평창 동계올림픽 북한 고위급대표단 단장인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장과 함께 방남해 특사 자격으로 문재인 대통령과 회동하고 김정은 위원장의 친서와 방북 초청 의사를 전달했던 인물이다.
또 방남 일정을 마치고는 평양으로 돌아가 남쪽에서 보고들은 내용을 김 위원장에게 전했다.
이에 김 위원장은 “우리측 성원들의 방문을 각별히 중시하고 편의와 활동을 잘 보장하기 위해 온갖 성의를 다하여 노력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고 말해 눈길을 끌었다. 김여정 제1부부장의 역할이 도드라졌다. 김여정 제1부부장과 대화를 나눈 한 인사는 “상대방의 이야기를 경청하는 모습이 인상적이었다”며 “굉장히 사려 깊고 영리하다는 느낌을 받았고 오빠인 김 위원장이 아낄만하다는 느낌이 들었다”고 말했다.
김 제1부부장이 김 위원장의 절대 신임을 받으며 총괄역을 하고 있다면 김영철 노동당 부위원장 겸 통일전선부장과 리수용 노동당 부위원장 겸 국제부장은 김정은 위원장의 외교 및 대남 외교의 양 날개라고 할 수 있다.
대남사업 전반을 총괄하는 수장인 김영철 부장은 지난 2월 말 평창올림픽 폐막식 참석차 방한해 문재인 대통령을 면담하고 대북특사단의 김 위원장 면담 때도 옆자리에 앉았다.
지난달에는 김 위원장의 첫 방중길에 동행 북중정상회담에 배석했고 서훈 국가정보원장과 협력해 마이크 폼페이오 미국 국무장관 내정자의 이달 초 극비 방북을 주선했다는 외신 보도로 또 한 번 주목을 받았다.김영철 부장은 이미 군 장성시절부터 남북간 장성급 군사회담에 대표로 참석하는 등 나름 남북문제에 일가견이 있는 전문가라고 할 수 있지만, 정책브레인이라기보다는 김 위원장의 명을 받아 집행하는 역할이 크다./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