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5일 발생한 김성태 자유한국당 원내대표에 대한 폭행 사건으로 국회 정상화를 위한 여야 협상은 안갯속으로 빠져들었다. 자유한국당은 김성태 원내대표의 단식투쟁 닷새째인 7일 오후 국회에서 비상 의원총회를 개최하고, 더불어민주당에 ‘조건 없는 특검 수용’을 요구했다. 이 자리에서 특검을 받아들이지 않으면 김 원내대표의 단식투쟁과 천막농성을 중단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또 지난 5일 발생한 김 원내대표에 대한 기습폭행 사건과 관련해 철저한 진상규명을 촉구하는 경기지역 의원들은 김 원내대표를 지원하기 위해 24시간 릴레이 단식투쟁에 동참한다.
자유한국당은 이번 사건을 ‘정치 테러’로 규정하고, 바른미래당도 심각한 민주주의 파괴라고 반발했지만, 여당은 우발적 사건일 가능성에 무게를 두고 야당에 국회 정상화를 촉구했다. 이래저래 국회가 공전하면서 산적한 민생현안들이 뒷전에 밀리고 있다. 한반도 정세는 훈풍이 불고 있지만 국회는 아직도 겨울잠에서 깨어나지 못한 채 대타협을 이루지 못하는 것이 한심할 뿐이다. 이러한 가운데 바른미래당도 드루킹 특검도입에 공조하고 나서 주목된다. 김동철 원내대표는 지난 6일 “민주당은 조건 없이 (드루킹 특검을) 수용해야 한다”고 했다. 소속 의원들에게는 8일 의총에 대해 “민주당이 끝내 국회 정상화 및 특검을 거부할 경우에 대비하여 화요일(8일) 출근 시에 침낭과 모포 등 침구류, 세면도구. 간편복 등을 준비해 주시기 바란다”는 문자메시지도 보내 장외투쟁 동참을 시사하기도 했다.
이처럼 야당의 장외·철야 투쟁이 지속되면서 협상 및 타협을 어렵게 하고 있다. 여야는 당초 오늘 오후 2시 본회의 개의를 목표로 주말도 반납한 채 원내대표 협상을 할 계획이었다. 9일부터 정세균 국회의장이 해외 출장을 가고 우원식 민주당 원내대표의 임기가 11일까지로 예정돼 시간이 여의치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번 폭행사건으로 주말 원내대표 간 회동도 무산됐다.
국회정상화를 위해서는 우선 야당과 국민 과반 이상이 요구하고 있는 드루킹 특검을 여당이 수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야만 국회가 열리고 추가경정예산안, 국민투표법과 방송법 개정안와 민생법안 등 현안에 대한 국회처리가 가능하기 때문이다. 특히 지방선거에 출마하는 민주당 김경수·박남춘·양승조 의원과 한국당 이철우 의원에 대한 사직서를 처리해야 하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국회의 문 당장 열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