총선이후 다소 주춤했던 한나라당이 공세의 포문을 다시 노무현 대통령과 열린우리당 쪽으로 향하며 불을 뿜기 시작했다.
검찰의 대선자금 출구조사 칼날이 한나라당을 향하자 '공격만이 최선의 방어'란 전술을 구사하며 정면 대응 방침을 밝혀 새로운 정치시대 개막을 바라는 국민들의 뜻관 다르게 나가고 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
한나라당은 특히 공격의 화살을 노 대통령의 열린우리당 청와대 지도부 만찬을 겨냥, '탄핵을 받은 가운데 정치를 재개하는 것은 위법'이라며 강력 반발하며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김형오 사무총장은 22일 오전 열린 상임운영위 회의에서 "검찰의 대선자금 출구조사에 대해 정면으로 맞서 싸우겠다"고 주장했다.
김 총장은 "대선자금 출구조사는 명백한 야당탄압용 편파수사"라면서 "노무현 대통령의 상생의 정치가 이런 것이면 갈등을 피할 수 없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김 총장은 특히 "투쟁과 굴복 중 한가지의 선택을 강요하면, 한나라당은 정면으로 맞서 싸울 수 밖에 없다"고 토로했다.
전여옥 대변인도 논평을 내고 "검찰이 출구조사를 하겠다면, 노 대통령과 측근들의 뇌물에 대해서도 출구조사를 해야 한다"며 "검찰이 노 대통령과 여당에 대해선 부실수사로 면죄부를 주려고 했던 점에서 한나라당에 대한 검찰의 출구조사는 진실성이 의심된다"고 성토했다.
또 홍준표 의원은 "중앙당에서 지구당에 지급하는 정당활동자금에 대해 지구당에서 어떻게 불법여부를 알 수 있겠으며, 지구당의 사용처는 수사대상도 될 수 없고, 검찰이 정치적 목적을 갖고 하는 견강부회 수사엔 응치 않을 것"이라며 "검찰이 이런 식으로 수사하면 자멸로 갈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강두 정책위의장은 "대통령이 보선 올인 발언을 한 것은 묵과할 수 없는 위법적 상황"이라며 "선관위에 조치를 촉구하겠다"고 밝혔다.
유한열 상임운영위원도 "탄핵중인 대통령은 정치행위를 할 수 없다"면서 "이는 국민을 기만하는 것으로 언론이 이같은 위법상황을 중요하게 다루는 것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반면 전재희 의원은 "불법대선자금을 추징할 수 없다는 법원의 결정과는 별개로 우리는 모든 불법자금 수수액에 대해 1원도 남김없이 조속히 반납해야 한다"며 "사무총장이 이런 절차를 서둘러 달라"고 주문했다.
총선이후 상생정치의 기운이 불것이란 기대완 달리 여야가 17대 국회가 문을 열기도 전부터 또다시 정쟁에 휩싸이면서 정가에 암운이 드리워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