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간 여야대표 회담이 내달 초쯤 열릴 전망이다.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은 23일 "헌법재판소의 대통령 탄핵심판 절차가 결정을 향해 진행되고 있는 만큼 탄핵철회 논의는 이제 무의미해졌다"며 "상생정치 논의를 위한 여야 대표회담을 갖자"고 제안했다.
정 의장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통해 "탄핵관 별도로 상생의 정치, 민생 정치를 위한 여야간 대화와 협력은 국민이 바라는 것"이라며 "여야 대표회담에서 새 정치의 틀을 논의하자"고 제의했다.
정 의장은 이어 "박근혜 대표가 탄핵안이 기각된 이후 만나기엔 어려움이 있을 것"이라며 "양당 대표회담 이후 다른 정당대표들과의 만남도 추진하겠다"고 설명했다.
정 의장은 특히 자신의 거취문제와 관련, "대통령 유고상태에서 입각 얘기를 하기엔 너무 빠르다"며 "정당개혁 등 차세대 정당의 틀을 만드는데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정 의장은 그러나 "당헌당규에 규정된 의장직 임기 2년을 다 채울 생각은 없다"며 "자신의 거취문제는 다시 얘기할 기회가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정 의장은 또 여권 일각에서 거론되는 정무장관직 부활문제에 대해 "정치공작이 횡행하던 시기의 정무장관직 부활이 시대흐름에 부합하는지 의문시된다"며 반대입장을 표명했다.
이에 대해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는 일단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현재 민생현장을 탐방 중이고, 경제민생 회동인 만큼 민생 목소리를 들은 후에 만나겠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여야 대표회담은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민생현장방문이 끝나는 내달 초쯤에나 가능할 것으로 점쳐진다.
이와 관련 열린우리당 정동영 의장 비서실장인 김영춘 의원과 한나라당 박근혜 대표의 비서실장인 진영 당선자가 실무접촉을 갖고 의제와 회동 날짜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
이처럼 여야 대표가 `상생정치'를 위한 회담을 갖기로 합의함에 따라 17대 국회의 여야간 대화와 타협의 새로운 정치실험이 본격 궤도에 오를 것으로 보여 주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