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4.30 (수)

  • 맑음동두천 26.0℃
  • 구름많음강릉 28.0℃
  • 구름많음서울 24.5℃
  • 맑음대전 25.8℃
  • 맑음대구 26.1℃
  • 맑음울산 22.5℃
  • 맑음광주 25.0℃
  • 구름조금부산 21.0℃
  • 맑음고창 25.3℃
  • 구름조금제주 18.9℃
  • 구름조금강화 22.5℃
  • 맑음보은 25.4℃
  • 맑음금산 26.8℃
  • 맑음강진군 22.8℃
  • 맑음경주시 28.3℃
  • 맑음거제 21.0℃
기상청 제공

[아침시산책]고래를 보내다

 

 

 

고래를 보내다

/김양희

한 사람을 떠나보낸다는 것은

대왕고래 한 마리 쑥 빠져나간

뱃가죽 허허롭게 움켜쥐는 일//

울산 바다 고래바다여행선 뱃전에 서서

바다 밑창 같은 그리움은 토해 버리고

폐부를 찌르는 구속의 그물은 놓아 버려라//

날카로운 포수의 작살 하나쯤이야

포경선 유유히 조롱하던 오래전 귀신고래 눈빛으로

마음을 포획하는 흔들림의 깃발은 찢어 버려라//

한 사람을 떠나보낸다는 것은

작살에 박혀버린 운명 같은 미련

한없이 바다에 풀어 놓는 일

- 김양희 시집 ‘서귀포 남주서점’ 중에서

 

 

 

 

시인은 한 사람과의 이별은 대왕고래 한 마리 빠져나가 뱃가죽을 허허롭게 한다 하였다. 대왕고래는 흰수염고래라고도 하며 현존하는 동물 가운데 가장 거대하고 무거운 동물로써 이별로 인한 마음의 빈 공간이 그만큼 크다는 것을 암시하고 있다. 그동안 백수광부의 아내가 지었다는 고대시 ‘공무도하가’를 비롯하여 이형기 시인의 ‘낙화’ 등 수많은 이별 관련 시를 접해 왔지만 이렇게 극치의 비유법을 활용 이별에 대한 그리움과 아픔을 농도 있게 끌어 올린 시는 이 시를 통해 처음 접한 것 같다. 한 사람을 떠나보낸다는 것이 운명같은 미련이었다면 지금 이 시간 서로 눈 길 마주보고 있는 사람들은 어쩌면 대왕고래보다 더 큰 인연이라 생각된다.

/정겸 시인

 







배너


COVER 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