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교육청이 지역 공립학교와 교육행정기관에 근무하는 용역근로자 1천153명을 오는 9월 1일자로 정규직(무기계약직)으로 전환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조치는 작년 7월 발표된 정부의 ‘공공부문 비정규직 근로자 정규직 전환 추진계획’에 따라 시교육청이 노사전문가협의회를 구성해 확정했다.
직종별 전환 인원은 시설물 청소원 650명, 당직 경비원 468명, 고객지원 종사자 22명, 일반시설 관리원 7명, 주차 관리원 3명, 배식차 운전원 2명, 사서 실무원 1명 등 총 7개 직종이다.
이제까지 1년 주기의 용역업체 계약으로 근무해왔던 이들 근로자들은 전환 신청 접수, 면접평가 및 결격사유 조회를 거쳐 9월 1일부터 교육감 소속으로 직접 고용된다.
전환 직종의 정년은 60세이지만 고령자가 다수인 당직경비원, 시설물청소원의 경우 정부 가이드라인을 수용해 만 65세로 책정했다. 또 이미 정년을 초과한 고령자는 2년 간의 정년 유예기간을 정하고, 그 후에는 근무평가를 통해 1년 단위 기간제 근로자로 근무할 수 있다.
근무 처우도 복리후생수당으로 급식비(월 13만원), 명절휴가비(연 100만 원), 맞춤형복지비(연 40만 원)를 추가로 지급받게 되면서 최저임금 수준이었던 용역근로자 임금이 15% 정도 인상될 전망이다.
이번 용역근로자 정규직 전환은 최소한의 채용절차로 상시·지속 업무에 대한 비정규직 정상화의 계기를 마련했다는 평가다.
도성훈 교육감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열심히 일해 오신 분들이 용역업체가 바뀔 때마다 겪었던 고용 불안과 처우를 개선한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평가하며 “앞으로 노동 존중을 솔선하는 모범적인 사용자 인천시교육청이 되도록 실천해 갈 것”이라고 의지를 밝혔다.
/박창우기자 pcw@