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당대표 선거 초반 양상
더불어민주당 당대표 선거에 ‘이재명 경기도지사 탈당 문제’가 새로운 변수로 떠오르고 있다.
‘이재명 탈당 압박’을 링 안으로 끌고 들어온 김진표 의원에게 송영길 의원이 “선거용 오해를 살 수 있다”며 각을 세우고 나섰기 때문이다. 이에 대해 이해찬 의원은 무대응으로 일관하며 정책행보에 집중해 당대표 고지를 두고 산아래에서 ‘金론宋박’과 ‘독자李선’ 현상이 벌어지고 있다는 평가다.
더욱이 이같은 현상은 정작 당사자인 이재명 경기도지사가 ‘경기도정 몰입’이라는 무관심 대응으로 나올 경우 당권경쟁 주무대에서 소멸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어 자칫 ‘계륵(鷄肋)’으로 전락할 수 있다는 전망도 조심스레 나온다.
송영길·김진표·이해찬 의원 등 3명의 후보(기호순)는 31일 전당대회 초반 기선잡기를 위한 신경전을 펼쳤다.
이날 송 의원과 김 의원은 소위 ‘이재명 탈당’을 놓고 서로 부드러운(?) 공격전을 치렀다. 이와반대로 이 의원은 이 문제에 대해 신경 쓰지 않고 정책 행보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을 분명히 했다.
송 의원은 이날 CBS 라디오에 출연, 김 의원이 이재명 지사를 향해 ‘탈당 압박성’ 발언을 거론, “선거용으로 활용한다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고 말했다. 특히 “이 후보의 핵심(측근)이었던 이화영 전의원이 지금 경기도 연정부지사로 임명돼 이를 공격하기 위한 빌미로 (이 지사 문제를) 활용하는 것 아니냐는 오해를 받을 수 있다”고 시간차 공격을 펼쳤다.
또 “(이 의원이) 문 대통령보다 선배고 더 윗사람이라 대통령께서 오히려 부담스럽지 않겠느냐”며 이 의원을 겨냥했다. 이어 “생물체든 어떤 조직이든 때가 되면 죽은 세포는 물러나고 새로운 세포가 생성돼야 신체나 조직이 건강한 것 아니겠냐”며 세대교체론을 재차 강조했다.
김 의원은 ‘이재명 탈당’에 대해 이 문제가 상식과 원칙적인 측면에서 매듭져야 한다고 재차 강조했다.
김 의원은 KBS 라디오에 출연해 “우리가 다른 의원과 비교해 이 지사를 관대하게 보호했다”며 “취임 후에 문제가 확산되고 새로운 의혹까지 제기되니까 선당후사의 자세로 이 지사가 좀 더 적극적으로 나서서 판단하고 결정해야 할 문제라는 말”이라고 설명했다. 그렇지만 “정치공학적으로 생각한 것은 아니다”라고 선을 그었다.
이 의원은 송 의원의 공세와 이 지사를 둘러싼 논란에 무대응 전략을 취하는 모양새다.
이 의원 측 관계자는 “이 의원을 공격하는 것은 이 의원이 앞서가는 것에 대한 견제로 보인다”며 “저희 길을 뚜벅뚜벅 가면 될 뿐”이라고 우보천리(牛步千里)를 강조했다.
이어 “현장에서 민생의 어려움을 듣고 문 대통령의 공약에 대한 진행 상황도 점검하고 있다”며 “권리당원 등 유권자들이 현장 정책 행보에 관심을 많이 가져 예비경선 때보다 분위기가 더 좋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후보들의 공방과 달리 ‘이재명 현상’은 점차 당내 논란으로 번지는 분위기다.
최고위원 도전에 나선 설훈 의원은 이날 tbs 라디오에 출연해 “(김 의원이) 이 지사에 대해 공격적으로 나오는 것을 보고 ‘보통 스타일로는 절대로 저렇게 할 분이 아닌데 왜 갑자기 저렇게 나오나’라고 생각했다”며 “아무리 선거지만 같은 동료이고 지도자급에 있는 분들인데 경우를 벗어났다는 생각이 들었다”고 말했다.
‘공정경쟁’을 통해 ‘원팀정신’을 훼손하지 말아야 한다는 ‘선당후사’의 충심이 돋보이는 대목이다.
/최정용기자 wes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