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전 본보(1일자 19면)엔 우울한 기사가 실렸다. ‘50대 퇴직자까지 가세… 노인일자리 경쟁 치열’ 제하의 기사엔 50대 퇴직자들이 60대들이 주로 하던 일을 넘본다는 내용이다. 그런데 업체들도 60대 보다는 좀 더 젊은 50대들의 업무능력이 낫기 때문에 50대를 선호한다고 한다. 사용자 입장에서는 당연한 일인지도 모른다. 게다가 50세 이상 실업자는 점차 증가하고 있다. 고용노동부와 통계청 등에 따르면 50세 이상 실업자는 2017년 기준 26만 명이다. 이는 2015년에 비해 1만8천 명이 늘어난 것이다.
우리나라 국민 수명이 점차 길어지고 기대수명 100세시대가 코앞에 다가왔다. 노인인구도 급증하고 있다. 인구의 급격한 고령화 현상으로 인해 지난해 12월엔 사망자 수가 출생아 수를 추월하기도 했다. 여기에 더해 지난해 출생아 수는 36만2천867명으로 사상 최초로 출생아 수가 30만 명대로 떨어졌다. 노인인구의 증가와 비례해 빈곤과 질병, 외로움에 시달리고 급기야는 자살이라는 극단의 선택을 하는 노인들도 급증한다. 전문가들은 이런 노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가정 좋은 처방은 취업 알선이라고 진단한다.
그래서 중앙정부나 지방정부 할 것 없이 노인들을 위한 정책을 수립해 앞 다투어 발표하고 있다. ‘노후가 행복한 00’ ‘어르신이 행복한 도시 00’ ‘노인 일자리 000개 창출’ 등 보도 자료를 배포하고 있다. 노인 일자리박람회도 수시로 개최된다. 하지만 질 좋은 일자리를 얻기는 쉽지 않다. 그나마 전기한 것처럼 50대 중·장년층이 자리를 차지하면서 60대 이상 노년층의 일자리는 점점 옹색해 지고 있다. 노인 취업자 대부분은 비정규직이나 일용직 등 질 낮은 일자리에 집중돼 있다. 그러나 베이비붐세대 은퇴자들 가운데는 당장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전문직이 많다. 물론 20~30대 젊은 층이나 50대 중·장년층의 일자리도 부족한 형편에서 그들과 같은 대우를 바라지는 않는다.
딱한 것은 베이비붐세대 은퇴자들은 아직 노부모를 모시고 있거나 자녀들을 독립시키지 못한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아직도 왕성한 경제적 활동이 필요한 때인데 일할 곳이 없으니 안타까운 노릇이다. 정부의 공익형 노인 일자리 수당은 월 27만원이다. 그나마 이번 정부 출범 후 5만원을 올린 것이다. 용돈 정도인데도 경쟁율이 높다고 한다. 정부는 공익형도 그렇지만 시장형 노인 일자리 창출에도 더 노력하길 바란다. 노인 일자리 친화형 기업에 인센티브를 도입하는 것도 고려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