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비심리가 한 여름에도 꽁꽁 얼어붙었다. 한국은행이 최근 발표한 ‘2018년 8월 경기지역 소비자동향조사 결과’에서 이달 경기도내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00.3으로 한 달 전보다 3.2포인트 떨어졌다. 이는 3개월 연속 하락하면서 16개월만에 최저치다. CCSI는 소비자의 체감 경기를 보여주는 지표로, 100을 밑돌면 경기를 비관하는 소비자가 낙관하는 소비자보다 많다는 뜻이다. 즉, 내수경기의 바로미터인 소비심리가 싸늘하게 식어가고 있다는 의미다. 소비자들이 경기불안을 느끼며 지갑을 닫는 현상이 지속되고 있는 것이다.
향후 경제 상황에 대한 인식도 매우 어두운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경기판단CSI(81→73)과 향후경기전망CSI(91→83)는 한 달 전보다 각각 8%포인트 하락했고, 모두 3개월 연속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취업기회전망CSI(84)마저 전월 대비 6%포인트 하락해 지난해 4월(83) 이후 최저 수준이다. 이는 미국과 중국의 무역 분쟁에다가 고용참사 등 실업률이 지속되고 있고, 생활물가가 상승하기 때문이다. 이같은 경제지표는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가장 낮은 수치를 기록하고 있다. 나라 안팎으로 각종 경제 악재들도 한꺼번에 들이닥치고 있어 경제상황의 전망을 더욱 어둡게 하고 있다.
소비심리 하락은 여러가지 복합적인 경제 상황에서 나타난다. 그런데 문제는 최근 정부가 추진 중인 정책을 불신하는 과정에서도 이를 부추길 수 있다는 점이다. 정부 출범 당시 일자리 정부를 표방하며 국민의 기대를 모았지만 소득주도성장에 치우친 나머지 국내 경제의 상황이 악화하고 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무역전쟁이나 유가인상은 어쩔 수 없다 하더라도 속도조절 없는 최저임금의 급격한 인상과 근로시간 단축 등은 부작용을 초래해 각종 경제지표를 악화시키고 있다는 것이다. 즉, 소비심리 추락은 소득주도 성장정책의 한계라는 비판을 겸허하게 수용해야 할 때다.
민간부문의 일자리 창출은 결국 종업원들의 소득을 좀 늘려준다고 해결되지 않는다. 퍼주기식 복지예산도 마찬가지다. 공공부문 일자리 늘리기도 국민의 부담과 빚으로 부메랑이 되어 돌아오게 마련이다. 최저임금을 대폭 올렸다고 물가상승을 따라가지 못해 소비로 곧바로 연결되지 못하고, 기업과 소상공인만 애를 먹는다. 경제는 심리다. 경제정책의 수정을 통해 국민들에게 더 큰 기대감을 주어야 한다. 향후 경제상황 인식에 대한 어두운 지표가 이를 말해주고 있음을 직시하기 바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