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심 미관을 해치는 간판을 정비하고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추진하고 있는 간판 개선사업이 미관 정비효과도 없이 세금만 낭비하고 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특히 상인회 주도 사업이다 보니 비회원은 개선사업에서 배제돼 형평성 논란과 함께 기존 낡은 간판과 뒤섞여 혼란만 가중시키는 등 당초 취지를 살리지 못해 예산지원 확대 등 사업의 전반적인 재검토가 요구된다.
10일 수원시와 상인회 등에 따르면 올해 수원 내 A시장과 B시장에서 간판 개선사업이 진행됐다. 이를 위해 A시장에 5억원, B시장에 4억원의 도비가 지원됐다.
그러나 교체 대상 상가 조사 및 용역 발주를 상인회가 주도하면서 시장상인회에 소속된 상가가 아닐 경우 간판 교체 대상에서 제외돼 불만이 일고 있다.
또 도시미관을 정비하겠다는 목적으로 진행된 사업이지만 지원대상이 1층 상가로 한정돼 있는 점도 문제로 지적된다. 2~3층에 걸린 커다란 간판은 그대로 둔 탓에 새로 제작한 간판이 눈에 잘 띄지 않아 효과가 떨어진다는 반응이다.
실제 B시장의 경우 전체 250여 점포 가운데 100곳만 간판개선 대상으로 지정됐고, 일부 점포는 2~3개씩 지원되기도 한 것으로 나타났다.
B시장에서 10년 넘게 상가를 운영중이라는 한 상인은 “상인회 운영을 둘러싸고 이견이 있다보니 몇몇 상가들이 상인회를 탈퇴했는데 이를 이유로 간판 교체 대상에서 제외하는 것은 세금을 지원한 취지에 맞지 않는다”며 “한집 걸러 한집은 옛날 간판으로, 도시 미관은 개선되지 않고 상인간 반목만 생겼다”고 토로했다.
또 1층에만 150개의 점포가 있는 A시장의 경우도 그나마 2/3인 100여 곳만 개선사업 대상으로 선정된데다 2~3층 점포는 아예 제외돼 낡은 간판과 돌출형 간판을 그대로 걸어놓은 상태로 막대한 예산을 들였지만 주민들조차 간판이 교체된 것을 모를 정도로 효과가 미비하다는 비판이 끊이지 않고 있다.
주민 한모씨(50·여)는 “일주일에 두세번씩 장을 보기 위해 시장을 찾지만 간판이 바뀐지 몰랐다”며 “깔끔한 분위기는 전혀 없다”고 말했다.
상인회 임원을 지낸 한 관계자는 “예산이 적어 모든 점포를 바꿔줄 수 없다보니 개선사업에 한계가 있고, 전체 점포를 대상으로 하려면 자부담이 필요하다는 점도 부담스럽다”며 “상인회 차원에서 시·도의원들에게 수차례 건의를 해 예산을 확보했는데, 상인회 소속이 아닌 곳까지 책임질 이유는 없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 시 관계자는 “가급적 많은 상가의 간판을 교체해 미관을 개선한다면 좋겠지만, 올해 배정된 예산으로는 한계가 있다”며 “상인회 주도 사업으로 시는 기본적인 관리만 하고 있다”고 말했다.
/박건기자 90vir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