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서울시의 일방적인 대중교통체계 개선에 대해 독자적인 대책을 마련하지 못한 채 끌려가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서울로 진입하는 도시형 버스에 대한 요금과 환승체계 방안이 마련되지 않은 데다 도가 공영제 실시에 부정적인 입장이라 대책마련이 시급하다.
경기도는 오는 6월 12일 거리비례제에 따른 독자적 버스요금 체계와 도내 도시형 버스의 무료환승 방안, 그리고 공영제 도입 등 대중교통체계 개선방안을 마련해 발표할 계획이다.
그러나 도는 교통카드 호환과 지하철 이용구간 요금 인하 등을 제외하고 가장 중요한 도내 버스의 요금체계와 무료환승, 공영제 도입에 대해서는 현실적 어려움을 이유로 개선대책을 내놓지 못한 채 ‘우왕좌왕’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우선 도내 버스 3천500대 중 서울로 진입하는 도시형 버스(좌석과 광역버스를 제외한 일반 버스) 1천600대에 대해서는 요금체계가 마련되지 않아 당분간 거리요금비례제를 그대로 적용해야 할 형편이다.
거리비례제 적용에 따른 요금인상으로 주민들의 교통요금 부담은 2배 이상 가중되고 상대적으로 이용률이 감소되면서 도내 53개 업체들의 경영난이 가중될 전망이다.
또 서울로 진입하는 1천600대의 버스의 무료환승에 대해 서울시와 아직 합의점을 찾지 못해 500만명의 주민들이 도내 요금인상분에 서울시 인상분까지 이중으로 부담해야 할 실정이다.
특히 도는 공영제를 도입할 경우 한해 수천억원의 예산을 지원할 경우 도 재정파탄을 우려해 회의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어 버스업체들의 경영난이 가중될 것으로 보인다.
서울로 출퇴근하는 수원에 한모(32)씨는 “그동안 수도권역차별에 대해서는 서울시?인천시와 적극적인 공동 대응체제를 구축하더니 정작 주민들과 직접 연관된 교통문제는 나 몰라라 하는 것 같다”며 “서울로 출퇴근하는 주민들의 요금부담은 분명 늘어나기 때문에 이에 대해 확실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도는 지하철 부분에서 800원(10km)을 기본요금으로 5km시 100원씩 인상하는 서울시안에 대해 거리를 3km로 줄이든지 요금을 50원으로 인하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또 카드누적과 마일리지제도 시행으로 할인율을 높이는 한편 신교통카드를 독자적으로 개발해 호환할 방침이다.
도 고위 관계자는 “지하철은 제외한 버스이용에 따른 인상요금 부담과 서울시로 진입하는 도내 버스에 대한 무료환승 부분이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다소 혼란을 야기할 수도 있다”며 “7월까지 개선방안을 마련해 최대한 도민이 불편을 겪지 않도록 할 방침”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