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가 자체사업으로 역점을 둬 추진하고 있는 선택형 맞춤농정 사업을 내년부터 확대 추진한다.
2일 도에 따르면 도는 지속적인 농산물개방 압력에 따른 도내 농업침체를 막기 위해 현재 21개 분야에서 시행하고 있는 ‘선택형 맞춤농정사업’을 내년부터 47개로 대폭 확대한다.
또 지원예산도 올해 443억에서 내년에 637억원으로 대폭 확대해 농산물 수급안정은 물론 농가소득증대 및 수출촉진 활성화를 지원할 방침이다.
우선 용인시는 원삼면에 농산물산지유통센터 건립을 포함해 6건을, 평택은 한우 브랜드화 및 파이프 자동온실 구축 등 7건, 안성은 ‘지역경제 활성화 센터건립’ 등 9건 등이다.
또 화성 송산포도 명품화, 축산물 육가공단지 조성 등 10건, 이천 대규모 포장공장(Packing House) 신설 등 2건, 양평 녹색 농촌체험마을 조성 등 3건, 여주 4건, 김포 3건, 광주 2건 등 모두 47건이다.
도는 앞으로 해당 시?군의 사업의지, 효과성, 지역특화 가능여부 등을 면밀히 검토한 후 농산물 수급안정 및 수출촉진이 가능한 사업이 추가 신청되도록 할 방침이다.
하지만 현재 평택과 화성을 제외하고는 예산집행이 제대로 이뤄지지 않고 있어 사업이 더디게 추진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관계자는 “화성시 등 추진실적이 제조한 시군에 대해서는 별도의 보고회를 개최해 부지매입, 인허가 등이 원활히 이뤄져 사업비를 조기에 집행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