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지가 창간 2주년을 맞아 실시한 여론조사 결과 정부가 추진 중인 수도권 기업의 지방이전에 대해 응답자 중 56.7%가 ‘사실상 수도권 역차별 정책’이라고 답해 정부정책에 대한 부정적인 시각이 크게 자리 잡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국가의 균형발전을 위해 필요한 정책’이라는 응답은 35.8%로 집계돼 사실상 기업의 지방이전이 경기도 상황을 전혀 고려치 않아 역차별로 이어지고 있다는 대답이 많았다.
특히 역차별이라며 부정적인 시각을 보인 응답자 중 대부분이 정부의 국균법 시행 보류나 대안마련을 지적한 것으로 분석됐다.
무엇보다 역차별이라는 의견을 낸 응답자를 연령별로 보면 40대가 63.6%로 가장 많았으며 50대이상 58.9%, 30대 53.1%, 20대 51.6%로 불필요한 이전보다는 안정적인 입지를 중요하게 생각하는 중장년층에서 가장 많이 응답했다.
특히 직업별로 보면 블루칼라가 61.2%로 가장 높게 나타나 사업장 폐쇄나 업체부도 등으로 일자리에 민감한 근로계층에서 이전을 반대했으며 다음으로 주부 58.9%, 자영업 56.6% 순으로 나타났다.
정당지지도에서는 한나라당(68.1%)과 자민련(66.5%) 지지층에서 수도권 역차별이라는 의견을 가장 많이 내 논 것으로 조사돼 최근 열린우리당에 입당한 노 대통령의 정책에 당색을 드러내 응답한 것으로 조사됐다.
반면 열린우리당과 민주당은 각각 51.1%와 49.0%로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나 대규모 정책에 대해 당리당략을 통한 입장이 엇갈린 것으로 분석됐다.
지역별로도 이전대상에 포함된 지자체에서 역차별이라는 응답이 많아 기업 지방이전에 따른 경제침체를 크게 우려하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지역별로 보면 ‘사실상 수도권역차별 정책’이라는 의견에 대해 안산시(78.4%) 의정부시(76.9%) 오산?안성시(73.0%) 남양주시(67.9%) 화성시(66.3%) 등 이전대상 기업 600여개가 소재한 지역에서 강한 불만을 표출했다.
반면 ‘균형발전을 위해 필요한 정책’이라는 질문에 연령별로 20대(45.3%)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직업별로는 학생(45.5%)과 화이트칼라(44.0%), 그리고 열린우리당(42.1%) 지지층에서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 보면 군포시(66.3%) 김포시(57.1%) 이천시?여주군(54.0%) 광명시(53.9%)에서 필요한 정책이라는 긍정적인 대답이 상대적으로 많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