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시는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돼 지구단위계획으로 관리 중인 도림 지구단위계획구역 등 36개 구역의 미집행 기반시설에 대해 재정비에 나선다고 18일 밝혔다.
2006년 20호 이상의 집단취락지구 36곳이 개발제한구역에서 해제된 이후 2012년 기반시설 계획을 포함한 지구단위계획이 수립됐다. 그러나 도로 75%, 공원 92%, 주차장 98%가 현재까지 미집행 상태로, 시설 설치를 위해서는 3천300억 원의 사업비 확보가 필요한 상황이다.
특히 해당구역은 개발제한구역과 인접한 입지 여건상 이미 형성된 도로를 이용할 수 있어 자치구의 집행 우선순위에서 배제되거나, 재정 여건상 예산 확보가 어려워 집행이 지연돼 왔다. 그리고 이로 인해 주민들은 토지이용 및 재산권 행사 등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에 시는 지구별 여건에 맞도록 기반시설 계획에 대해 필요성, 이용성, 활용도 등을 전면적으로 검토해 맹지가 발생되지 않는 토지와 접한 도로, 필요성이 떨어지는 주차장, 공원, 광장 등에 대한 기반시설 설치계획(폐지, 변경)을 세워 시민에게 꼭 필요한 시설에 대해 제때 사업비가 집행되도록 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지난 3월 인천도시관리계획 정비 용역에 착수해 기초조사를 진행하고 있으며 대상 시설 선정 및 군구 협의, 주민의견청취, 도시건축공동위원회 심의를 거쳐 올해 말 지구단위계획을 변경 결정할 예정이다.
김기문 시 도시균형계획국장은 “필요한 기반시설을 최대한 설치하도록 노력하며 일괄 재정비를 통해 주민의 재산권을 보호하고 예산절감 및 합리적 토지 이용을 도모하겠다”고 밝혔다.